18.216.29.108
18.216.29.108
close menu
정신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Factors That Affect Independent Living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서주연 ( Seo Ju Youn )
장애인복지연구 1권 3호 139-164(26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118918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자립생활 패러다임’은 장애인 복지의 핵심패러다임으로서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의 질적인 성장을 제고하고 궁극적으로 정신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과정으로 적용되어 질 수 있으나 정신보건 영역에서의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에게 자립생활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그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조사 대상자는 20세이상 60세 미만의 정신병 진단을 받고 지적장애와 중복되지 않은 정신장애인으로 시울시 내 정신보건시설 및 센터에서 사례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28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표준중다회귀분석 통계방법을 사용하였고 신체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일상생활능력,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일상생활능력순이며 사회적 자립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자아존중감, 가족·사회적지지, 일상생활능력, 나이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하여 정신장애인이 자립적으로 생활하기 위해서는 첫째, 정신장애인이 사회적 차별이나 인권침해를 받았을 때 정신장애인의 필요와 사례에 따라 공적시스템 하에서 맞춤형 정보제공은 의무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정신건강서비스의 조기개입과 고등교육 수준까지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셋째, 가족, 친구를 포함한 이웃주민, 지역전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정신질환에 대한 올바른 정신건강교육을 통해 사회적 낙인감 제거 및 사회적 관계망을 확장하여 가족·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자조모임과 동료상담을 통한 프로그램으로 주인의식을 갖고 지역사회 참여자로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Independent Living Paradigm’ is so called the model viewpoint of the services advantaged as consumers, putting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In this context, this paradigm is placed the emphasis on the principle of coverage of all physically and mentally-handicapped people. Nevertheless, the research on mental health is rarely made, so the research on independent living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is required. The research theme was factor to influence self-assistance among mentally-handicapped people.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thesis studied about the relatively greatest variables. To do it, this thesis conducted a survey of 289 mentally-handicapped people, who were diagnisd as having merely mental disabled, instead of mental disorder and etc, Seoul mental health centers who were more than 20 and under 60 years old. The research thesis conducted the statistic analysis with the statistically research tool of SPSS Win, 12.0. 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each factor, and relative influences with the prevented gender disorder dependent variables. First, the tailored information fit for cases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ought to be provided under public service systems, by all means, so that mentally-handicapped people could seek help for their social discriminations or human rights infringements, and they could stand on their feet and live independently. Second, taking policy measures is important to help them receive high education. Third, the assessments of mentally-handicapped people ought to be made through individual selective services based on what's called ‘voucher’ form, which guarantees self-determination to mentally-handicapped people. Fourth, this research can refer to as reduce social stigma and build extensive social relation networks, and strengthen family and social supports by providing right mental health education training on mental disorder to family, friends, neighbors, local people and experts. Fifth, it can be cited as self-assistance programs and daily life training methods necessary for self-assistance with the focus on counselors.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