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대청호 상류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수질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 안남천과 안내천을 중심으로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nd pollutant loading in Daecheong upper basin : Annae-cheon and Annam-cheon
안태웅 ( Ahn Taeung ) , 강성주 ( Kang Seongju ) , 김동민 ( Kim Dongmin ) , 김병수 ( Kim Byeongsoo ) , 강지현 ( Kang Jihyeon ) , 이흥수 ( Lee Heungsoo ) , 오정국 ( Oh Jungkuk ) , 조인호 ( Jo Inho ) , 정상구 ( Jeong Sanggue ) , 손대희 ( Son Daehee )
UCI I410-ECN-0102-2023-500-001202269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대청호는 금강 중·상류에 건설된 다목적 인공호수로서 대청호 상류유역 연평균 총강수량의 인 약 28억 ㎥(68%)이 유입되고 있고 중부권의 주요 용수원으로 연간 약 16억 ㎥의 생활용수, 공업용수, 관계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이러한 수자원을 보호하기 위하여 대청호 주변에 오염물질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을 예방하고 자연환경 및 생활환경을 적정하게 관리·보전하기 위하여 기존의 상수원보호구역 외에 상수원 수질보전 특별대책지역을 지정·고시가 되어 수질보전을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청호 수질개선 및 녹조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청호로 직접 유입 하천에 대한 중장기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류하천별 물환경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오염원 정밀조사를 통한 지류별 오염발생 특성을 파악하여 수질개선 및 녹조저감을 위한 수질관리를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청호 상류유역의 지류지천 중에서 안남천과 안내천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통해 오염원 그룹별로 오염원을 분석하고 하천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여 대청호의 안남천과 안내천의 수질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오염원 그룹별로 현장을 조사한 결과, 안남천 유역에는 축사 43개소(소 570두, 가금 13,000두), 방치축분 12개 지점 등 축산계 오염원과 인삼재배지 21개소(면적 29,026 ㎡), 비닐하우스 9개소(면적 24,747 ㎡), 홍수조절지 56개소(면적 62,226 ㎡) 등 토지계 오염원으로 확인되었다. 안남천 유역 전체 T-P 배출부하량 중 축산계가 93.8%, 생활계는 5.7%, 토지계가 0.5%의 비율로 확인되어 축산계에 대한 수질관리방안의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남천과 안내천의 현장조사를 통한 오염원 분석 및 하천 모니터링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수질개선을 위한 축산계 구조적 및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하였다. 수계의 저영향 축산활동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노후화된 시설지원, 축분 수거를 통한 자원화처리와 비구조적인 관리방안인 비가림막 도우미 제공, 주민들에 대한 환경교육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지계 관리 방안으로는 안남천·안내천 유역의 홍수조절지의 불법 경작에 대한 해결 및 경작지의 축소와 농업 비점오염원의 유출방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