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SWAT 모델의 국내 특성 반영을 위한 모델 및 보정방법 제안
A proposal of the calibration method and improved SWAT model to consider domestic characteristics
이동준 ( Lee Dongjun ) , 이서로 ( Lee Seoro ) , 홍지영 ( Hong Jiyeong ) , 박윤식 ( Park Youn Shik ) , 김종건 ( Kim Jonggun ) , 임경재 ( Lim Kyoung Jae )
UCI I410-ECN-0102-2023-500-00120184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수문모델을 활용하여 수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수문모델 중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모델은 미국 농무성 연구소에서 개발된 유역 단위 준 분포형 모델로서, 장기간의 하천의 유량, 수질, 수문순환을 파악할 수 있다. SWAT 모델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수치표고모델, 토지이용도, 토양도, 기상자료가 필요하며, 입력자료를 기반으로 생성된 수문반응단위(Hyrdologic Response Units, HRU)를 이용하여 수문 현상을 모의한다. 또한, 지표유출, 기저유출, 지하수 물 흐름, 토양 수분 내 물 흐름과 같은 수문 현상을 모의하기 위해 물리적 공식들을 활용한다. 하지만 모델에서 사용되는 HRU의 경사도, 경사장 추출 공식, 토양유실 산정 공식들은 미국 지역에서 개발된 경험식으로 자동 산정되기 때문에 국내의 지형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델을 국내에 적용하는데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보정방법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보정방법만으로 국내 특성을 반영하기에 한계점이 있어 SWAT 내부 Source Code를 수정하여 국내의 지형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선하였다. SWAT 모델의 국내 모델 적용 첫 번째 문제점은 HRU의 지형적 속성자료(경사장, 경사도) 산정 공식으로 SWAT 모델은 HRU의 경사도 자료를 기반으로 경사장 자료를 추출한다. 하지만 국내에서 실측한 지형 자료와 SWAT에서 추출한 지형 자료는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미국 지형의 특성에서 개발된 경험식과 경사도가 급한 국내 지형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두 번째 문제점은 토양유실량 산정공식으로 SWAT 모델은 MUSLE 공식을 사용하여 모든 HRU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MUSLE 공식을 국내에 그대로 적용하여 모델을 구동하였을 경우, 토지이용에 따라 토양유실 발생량을 과대 또는 과소 산정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 별로 토양유실 산정공식을 달리 사용하도록 모델 Source Code를 수정하였다. 마지막으로, SWAT 모델에서는 하천 단면 생성 시 큰 유역에서 적합한 공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측 하천단면 데이터를 활용하여 하천단면 산정 공식을 추출하였으며 이를 모델 Source Code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기반으로 모델을 구동하였을 때, 기존의 모델에서 사용한 방법보다 실측 유량 및 수질을 잘 모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보정 방법 및 모델 엔진을 활용한다면 국내 수자원을 예측 및 관리하는데 크게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