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지역 필사본 <춘향전> 8종에 대하여 텍스트 분석과 현장조사를 실시하여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을 살펴보았다. 국문본 <춘향전> 이본을 검토한 결과 방각본이나 활자본이 아닌 필사본을 대상으로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다. 이 작품들은 1909~1922년까지 13년간 ‘별춘향전’계열을 텍스트로 활용하고 있다.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지속했지만 그 이후에는 필사에서 독서로 향유문화가 변모한 것으로 생각된다.
<춘향전> 필사자는 남성보다 여성(6종)이 풍부하다. 여성 필사자가 풍부한 것은 영남과 유사하지만 호남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도 농한기에 집중적으로 필사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가난한 선비집안 여성들이 농한기를 이용하여 언문을 배울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있었기 때문이다.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문학적 대응은 충청 지역문화를 반영한다. 첫째, 충청 지역 필사자는 <춘향전> 필사의 전통을 통해서 이야기 중심의 서사 전개와 독서물적 성격을 선호하고 있다. 둘째, 작품의 서두는 이도령이 먼저 등장하는 초기본의 성격을 보여준다. 작품의 결말은 춘향의 정절에 대한 유교적 보상이 첨가된 작품이 상당히 빈약하게 나타난다. 셋째, 사랑가 대목이 축소된 반면에 이별가 대목은 확장되었다.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집안 여성들이 사랑가를 축약하고 이별가를 확장하는 방향으로 텍스트를 변모했을 가능성이 높다. 넷째, 춘향의 옥중 해몽과 함께 봉사의 신세 한탄 및 춘향의 몸을 더듬는 봉사의 성적 욕망이 풍부하다. 다섯째, 이몽룡의 과거급제는 축소된 반면에 암행어사로서 관직을 수행은 확장되어 있다. 그럼에도 암행어사가 변학도를 처벌하지 않으면서도 춘향과의 극적 상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상에서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영남 지역과 유사한 반면에 호남 지역과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충청 지역 <춘향전>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은 <춘향전>의 보편성과 개별성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문학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Text analysis and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on eight types of “Chunhyangjeon” manuscripts in the Chungcheong area to examine the literary response of manuscripts. As a result for reviewing the eight manuscripts,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was continued for manuscripts, not for Banggak or typography. These works have been used as the texts of “Byoulchunhyangjeon” affiation for 13 years from 1909 to 1922. From the Gaehwagil(a period of transition to a modern socie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tradition of writing “Chunhyangjeon” continued, but after that, it is thought that it changed from handwriting it to reading it.
The scribes of “Chunhyangjeon” are mostly women (6 types). The predominance of female scribes is similar to that of Yeongnam, but it shows differences from Honam. “Chunhyangjeon” was transcribed during the rest of farming with concentration. This is because during the rest of farming, there was a time that women from poor sunbi families could learn Hangul.
The transcription tradition and literary response reflect the regional culture of Chungcheong. First, the scribes from the Chungcheong region prefer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centered stories and the characters of reading materials through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Second, the begining of the work shows the nature of the initial work that Yidoryeong appears first. The works with Confucian rewards for Chunhyang's chastity at the end are quite poor. Third, the part of Saranga(Love song) is shortened, but Ibyeoulga(farewell song) is expanded.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women from Sunbi families have changed the text in the direction of reducing love and expangind farewell. Fourth, along with the interpretation of Chunhyang's dream in prison, there is a wealth of lamentation over the new life and the sexual desire of Bongsa(a blind man) who grops through Chunhyang's body. Fifth, Yi Mong-ryong's pass of the government examination has been reduced, while his performance as a secret royal inspector has been expanded. Nevertheless, the scribes in the Chungcheong region focuses on dramatic reunion between Yi Mong-ryong and Chunhyang without punishing Byun Hak-do.
In the above, the tradition of handwriting “Chunhyangjeon” in the Chungcheong region and the literary response of the scribes are similar to that of the Yeongnam region, while they a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Honam region. Literary value can be given in that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of “Chunhyangjeon” are grasp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