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를 응용한 제품 디자인 폼팩터 방향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Design Form Factor Direction of Stretchable Display Applications
김도경 ( Kim Do Kyung ) , 김흥렬 ( Kim Heung Ryeol )
DOI 10.47294/KSBDA.23.6.4
UCI I410-ECN-0102-2023-600-00120825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2010년 이후 첨단 디스플레이 구조와 특성을 응용한 제품이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평면 중심의 고정적인 디스플레이에 대한 고정관념이 깨지고 디스플레이가 접히거나 말리는 등 디자인의 영역이 크게 확대되었고, 뒤이어 신축성을 가진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는 기술 환경에 들어섰다. 이 연구는 이러한 기술 발전 배경에 따라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폼팩터 특성을 기반으로 새로운 환경에 적용될 수 있는 응용제품 디자인 유형과 제품화 방향성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 과정에 있어 단계적 방법으로 접근하였고 사례 분석, 리서치를 통한 이론 분석, 선행 연구 데이터를 활용한 실험 분석 등을 활용하였다. 1단계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는 신축성을 특장점으로 면적 자체가 늘어나고 복원되는 특성을 제시하고, 2단계로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폼팩터는 2D형은 대칭과 비대칭, 3D형은 입체형, 구김형 볼륨형 신축형태 등 세부적으로 총 5개의 폼팩터 구조를 도출하여, 3단계에서 도메인 환경을 인간의 공간, 놀이, 경험이라는 세 가지 핵심 가치에 따라 미래 디자인 산업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4단계에서는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응용제품 케이스로 모빌리티 기기, 게임기기, 스마트 기기 도메인 영역을 응용제품 디자인 제안 대상이 되기 용이한 범주로 설정하고, 분류한 세 가지 도메인을 세분화하여 인테리어, 게임기형, 스마트홈 제품으로 디자인 아이디어를 제안하기 위한 적절한 폼팩터와 제품화 방향성을 매칭하였다. 연구결과는 매칭된 도메인과 폼팩터를 근거로 하여, 최종적으로 뒷자석 부착형 엔터테이너, 양손 조작형 게임 콘솔, 그리고 리빙용 라이팅의 총 세 개 제품을 응용제품으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Since 2010, products using advanced display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have evolved very rapidly, and the emergence of flexible display technique has greatly expanded the design area, such as breaking stereotypes about fixed form displays which have flat based and foldable or rollable displays and the now, stretchable display, a next-generation display with flexibility, has entered a technology environment that is greatly drawing attention. Based on the form factor characteristics of stretchable display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pplicable product design types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s that can be applied to new future environments according to this technological advanced background contemporarily. The research method was approached in a step-by-step manner in the research process, and case analysis, theoretical analysis through research, and experimental analysis using previous research data were used. In the first stage, the stretchable display 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increasing and restoring the area as a feature, and in the second stage, the stretchable display form factor was classified as a future design industry according to the three core values of human space, play, and experience. In addition, in step 4, the applicable product case of stretchable display was set as mobility device, game device, and smart device domain area as easy categories to be proposed for application design, and the three domains classified were subdivided to match the appropriate form factor and commercialization direction to suggest design ideas with interior, console and smart home. Based on the matched domain and form fact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nally suggested the product design direction of the rear seat entertainer product in mobility device domain, the tangible game console product in game device domain, and the skin light product of the smart device domain as applicable products.

1. 서론
2.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의 개발 동향 이해
3.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특성과 응용제품 접근
4.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응용제품 디자인 방향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