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이이(1536∼1584)가 과거시험에서 아홉 번 狀元을 하였다고 하는데, 이 때 장원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아홉 번의 횟수는 맞는지, 맞다면, 그것은 어떤 시험들이었는지를 조선시대 과거시험 전공자의 입장에서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구도장원’ 중의 장원은 생원진사시와 문과에서 각 단계별로 실시되는 모든 시험마다 1등으로 붙은 사람에게 붙이는 호칭이었다. 또한 이이는 20세, 22세, 23세에 각각 문과 초시에서 장원을 하고, 29세에서는 생원진사시와 문과에서 6회 장원을 하여 총 아홉 번의 장원을 하였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구도장원’에 해당하는 과거시험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사료들을 활용하여 「율곡연보」(율곡전서본)의 과거시험 내용들을 순차적으로 수정·보완함으로써 향후 이이의 20대 행적을 보완하고, 새로운 「율곡연보」의 편찬에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paper is as follows. Yi Yi (1536~1584) has become a First Grade(Jangyuan) nine time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What does that Jangyuan mean? The number of times is right. If so, what kind of examination is it? I want to make an empirical explanation from the standpoint of Civil Service Examination professionals in the Chosen era. JangYuan is the name given to the first person in the ‘Classics and Literacy Licentiate Examination’ and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s conducted at all stages. Yi, 20, 22 and 23 years old, won JangYuan in the preliminary Examination respectively, and 29 years old, won JangYuan in the ‘Classics and Literacy Licentiate Examination’ and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6 times, a total of 9 times. In this paper, it is proposed to use new historical materials to modify and improve the past examination contents of the "Yulgok Annales"(Total Collection of Yulgok) in turn, and accordingly modify other contents of the "Yulgok Annales". The results will help to improve Yi Yi's deeds in his twenties, and help to compile the new "Yulgok Annal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