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증가하는 화학사고는 유해 물질의 확산과 잔류로 인명과 환경에 피해를 주고 있다. 환경피해 조사는 지리적 조사 범위와 시기를 확정하기가 더 까다로운 측면이 있다. 전문 조사 인력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할 때 효율적인 정량 평가방법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의 개선을 위해 각종 센서를 장착한 드론을 활용하여 화학사고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화학사고로 인한 환경 피해면적은 고해상도 광학 영상을 사진측량기법을 적용하여 생성된 정사영상과 다중분광센서로 취득한 5개 분광대역 정보를 활용한 정규식생지수를 적용하여 산출되었다. 그 결과, 정규식생지수를 토대로 피해지역과 비피해지역으로 분류하고, 화학사고로 인한 피해면적에 대한 일치도를 나타내는 Kappa 상관계수는 0.649 (임계값 0.7)의 수준을 보였다. 다양한 반사특성을 가진 지형지물이 존재하는 피해 현장의 여건을 고려할 때, 분광정보와 정규식생지수만으로 피해면적을 분석이 이루어진 연구의 한계가 있으며, 향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화학물질사고 조사 현업화 방안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nnual increase in chemical accidents is causing damage to life and th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and residual of substances. Environmental damage investigation is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geographical scope and timing than human damage investigation.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is a lack of professional investigation personnel, it is urgent to develop an efficient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is situation, this paper conducted a chemical accidents investigation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The damaged area was calculated by Ortho-image and strength of agreement was calculated using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mage. As a result, the Cohen’s Kappa coefficient was 0.649 (threshold 0.7).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analysis has been performed based on the pixel of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chemical accident investigation plan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