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적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수행하고 있는 러시아의 정보전 활동을 형태별, 대상별로 분석하는 것이다. 러시아는 자국의 국가발전과 이익을 침해하는 서방의 정보전 활동에 대응하여 적극적으로 정보전을 수행하고 있다. 러시아 정보전 활동의 주 내용은 반사통제이론을 근간으로 하여 여론을 이용한 심리전, 전략정보전 및 전복전, 전투정보전 및 전자전을 수행하고 있다. 러시아는 각종 수단을 활용하여 외국뿐만 아니라 자국민도 대상에 포함하여 자국에 유리한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정보전을 수행한다. 우크라이나도 러시아와 유사한 교리를 적용하여 러시아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도 정보전 교리의 발전이 요망되는바, 특히 다양한 이론들의 통합, 전시 매스컴 활용, 대북한 관련 민사작전과 전복전 등의 계획 및 시스템 발전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Russia’s information warfare activities in the Ukraine war by type and target. Russia is actively conducting information warfare in response to Western information warfare activities that infringe on its national development and interests. The main contents of Russia’s information warfare activities are psychological warfare using public opinion based on reflex control theory, strategic information warfare and subversion warfare, combat information warfare and electronic warfare. Russia conducts information warfare to create favorable conditions for its own country, including its own citizens as well as foreign countries, using various means. Ukraine is also responding to Russia by applying a doctrine similar to that of Russia.
Korea also needs to develop the doctrine of information warfar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develop plans and systems such as integration of various theories, use of wartime media, and civil operations and subversion warfare related to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