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훼손 수목의 이식을 위한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분석과 개선 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of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for Transplantation of Damaged Trees
김혜수 ( Hyesu Kim ) , 김정호 ( Jungho Kim ) , 문윤정 ( Yoonjung Moon ) , 이선미 ( Seonmi Lee )
환경영향평가 31권 6호 423-437(15pages)
UCI I410-ECN-0102-2023-500-000767805

환경영향평가서 작성 및 검토 매뉴얼에 따라 훼손되는 수목의 일부를 이식하고 있다. 수목이 원래 서식하고 있는 산림에서 가이식장과 최종 이식장으로 이식하는 과정에서 고사하거나 생육이 불량한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이식장과 최종 이식장의 토양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에 서식하던 산림 토양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식한 수목의 생육에 적합한 토양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10개의 환경영향평가 사업을 대상으로, 원래의 서식지인 주변의 산림지역, 훼손수목의 일부를 임시로 이식하고 있는 가이식장, 공사가 완료된 후 최종 이식을 하게 되는 공사장을 대표하는 지점에서 각각 2개씩, 총 60개의 토양을 샘플링하여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물리적 특성 중에서 투수계수, 유효수분율, 경도, 화학적 특성 중에서 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 유효인산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장의 토양은 공사 장비로 인한 답압으로 주변의 산림보다 경도가 높고, 모래 함량이 많아 투수계수는 높으며 유효수분율은 낮아 식물이 필요한 토양 내 수분을 보유하지 못하고 배수되는 양이 많다. 경도가 높은 토양의 공극량을 증가시키고 물리적 구조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운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을 함께 개선하기 위하여 토양 내 부숙된 유기물을 첨가한 후 우드칩이나 낙엽으로 표면을 덮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Parts of damaged trees are being transplanted in accordance with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Manual. Problems such as death or poor growth are constantly being addressed in the process of transplanting trees from the forest they originally inhabited to temporary and final transplant sit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properties in the surrounding forest, the temporary transplant site, and the construction site and to suggest methods for improving the soil to make it suitable for the growth of transplanted trees. For 10 development projects, 2 soil samples were sampled from the surrounding forest, temporary transplant site, and construction site. A total of 60 soil samples were analyzed fo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mong th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vailable moisture, and hardness, and chemical properties such as acidity, organic matter content, total nitrogen, and available 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The soil of the construction site is harder than the surrounding forest because of construction equipment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higher than the surrounding forest because of high sand content, and the available moisture was low. It does not retain the moisture necessary for plants in the soil and drains immediately.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illage to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tructure of the soi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over the surface with wood chips or fallen leaves after adding mature organic matter to improve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soil together.

Ⅰ. 서론
Ⅱ. 연구 내용 및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사사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