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유튜브는 어떻게 기억하는가’에 집중해 유튜브의 문화기억 구조를 밝히기 위한 논의이다. 특히 소통적 기억의 문화기억으로의 포섭이라는 관점에서 이를 ‘증언하기’와 ‘네트언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먼저 모리스 알박스, 얀 아스만과 알라이다 아스만의 논의를 통해 집단기억과 문화기억론의 기본 전제들을 다뤘다. 다음 변화한 기억 환경에서 문화기억론의 응용과 확장을 촉구하는 추가 논의들을 통해 유튜브와의 접점을 위한 새로운 전제들을 점검했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유튜브의 문화기억 구조를 논하였다. 먼저 창조적 아카이브인 유튜브에서 프로슈머로서 사용자들의 일상의 소통적 회상행위를 UCC를 통한 ‘증언하기’의 기억실천으로 규정하고 그 의미와 과정을 밝혔다. 이어 이 증언들이 촉발한 사용자들의 집단회상은 네트언어를 위시한 SNS적 기능을 포괄하는 유튜브의 미디어 경험을 통해 집단의 상징성 있는 의미 기호체계를 형성함으로써 결국 소통적 기억이 사회의 문화기억으로 포섭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 of collective memory in the network media-Internet in the digital age. Therefore, I focused on Youtube as the key media and tried to examine ‘How does YouTube remember?’-structure of the working process of cultural memory on YouTube. In this regard, the basic premises of collective memory and cultural memory theory were checked through discussions by Maurice Halbwachs, Jan Assman and Alida Assman. Next, new premises to meet with YouTube were checked through recent discussions that urged the transfiguration and expansion of cultural memory theory in the changed memory environment. As a result of the this study, the cultural memory structure of YouTube was discussed from the following point of view. First, as a prosumer in YouTube, a creative archive, the daily communicative reminiscence of users was defined as the mnemonic practices of ‘witnessing’ through UCC, and the meaning and the memory process were also revealed. It was found that the users' collective reminiscence triggered by these ‘witnessing’ formed a symbolic semantic sign system of the group through the media experience of YouTube, which encompasses SNS functions including ‘Netspeak’. And subsequently this leads to cultural memory’s subsuming of communicative mem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