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일본에서의 중견기업에 대한 인식과 특징
The Percep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dium-Sized Enterprises in Japan
강철구 ( Cheol-gu Kang )
중견기업연구 1권 2호 49-66(18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787325

일본에서의 중견기업에 대한 법률적 정의는 정해져 있지 않으나, 일반적인 정의로 볼 때 중견기업은 고용비중, 산출, 부가가치 측면에서 높은 질적 비중을 차지하여 각 산업구조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의 중견기업 수는 전체 기업체수 대비 1% 이하에 불과하지만, 고용비중은 약 15%, 제조업 출하액 비중은 약 25%를 점하고 있어, 일본의 전통적 경쟁우위업종인 기계, 전자부품 등의 경우에는 고용비중과 출하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본의 경쟁우위업종의 저변에는 상대적으로 두터운 중견기업층이 존재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물론 일본정부가 정책적으로 내세우는 명시적인 중견기업 육성정책은 아직은 없지만, 연구개발사업 및 기업간 제휴 유도라는 중소기업 정책의 축에 중견기업이 참여할 여지를 높이는 정책사업 등은 존재하고 있다.

There is no legal definition of medium-sized enterprises(MSE) in Japan, but in general, MSE takes an important role in employment rate, production, and value added, so it is being a significant link of different kinds of industries. Even though the MSEs are less than 1 percent of the entire number of businesses in Japan, they are accounted for 15 percent of employment rate and 25 percent of manufacturing industry’s exports, so it is showed that they have high employment rate and manufacturing industry’s exports in machinery and electronics which is considered Japan’s major industries. It can be analyzed that behind Japan’s advantageous industries, close and deeply knit MSEs exist. Although there are no clearly stated policies geared towards the MSEs by the Japanese government, various political measures exist such as the R&D Project and the inducement of cooperation between enterprises which gives room for MSEs to participate in the small-sized enterprises policies.

Ⅰ. 서론
Ⅱ. 일본 중견기업의 일반적 정의와 역할
Ⅲ. 일본 중견기업의 특징
Ⅳ. 중견기업에 대한 인식
Ⅴ.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