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입법과 창제의 시대, 문장의 책무와 한계 - 집현전 학사들이 官撰書에 부친 文字들을 중심으로 -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literature in the Era of Legislation and Creation: Focusing on the Proses Contained in Government Publications by Jiphyeonjeon Scholars
金南伊 ( Kim Nam-yi )
진단학회 2020.12
진단학보 135권 319-353(35pages)
UCI I410-ECN-0102-2023-900-000809615

집현전 학사들은 세종대의 입법-창제의 실무자로 항상 현장의 중심에 있었다. 이 성과들은 많은 부분 언어-문자로 표현되었는데, 집현전 학사들은 여러 저작의 본문을 직접 쓰거나 고쳤으며 여기에 부치는 進箋과 序文ㆍ跋文을 썼다. 이 문장들을 분석해 본 결과, 세종이 ‘입법-창제’라 표명한 이 시기의 모든 일들은 세종이 기획하면 그대로 추진되어 원만하게 성사되기보다 논란과 이견차를 조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각 분야의 발전 또한 순조롭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다. 집현전 학사들이 세종대 편찬ㆍ간행된 관찬서에 부친 여러 산문들은 그런 세종대의 혼란과 대응, 한계의 지점들을 담고있었다. 먼저 본문의 Ⅱ장에서는 집현전 학사들이 처했던 문장 쓰기의 여건과 환경을 고찰하였다. 학사들이 궐내에 보관되거나 전하는 기성의 문장들을 참고하고 토론하며 공동으로 문장 작업을 했음을 밝혔다. 또한 문장의 내용과 수위에 대하여 세밀하게 지적하고 관여하는 군왕 세종 또한 학사들의 문장 짓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환경’이었음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집현전 학사들이 『고려사』 『향약집성방』 『통감』 訓義, 『용비어천가』에 부친 서문과 발문 등을 분석하였다. 지금까지 언문 시행과 관련된 집현전 부제학 崔萬理의 上疏를 빼면, 별로 주목받지 못했던 세종대 입법-창제의 또다른 장면을 집현전 학사들이 직면했던 문장의 책무와 한계라는 관점에서 규명하였다. 이로써 집현전 학사를 중심으로 한 세종대 한문학의 역사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종대의 입법-창제의 많은 결과물들은 세조~성종대의 보완ㆍ수정을 거치면서 성취 혹은 완성되었다. 이런 점에서 세종대의 성취를 역사적 맥락을 소거한 채 절대화하지 말고, 그 역사적 성격과 위상을 분명하게 평가할 필요성 또한 제기하였다.

Jiphyeonjeon scholars were at the center of the fields as major working scholars in the systems or academic fields attempted diversely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Many parts of these achievements were expressed in language and letter. They wrote or corrected the text of various books and prepared prefaces and postfaces for the books.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entences of the books shows the processes which adjusted controversies and different opinions, rather than being carried out and achieved smoothly as planned, when King Sejong planned everything stated as legislation and creation during that time. Development in each field was also not achieved smoothly. A lot of proses contained in the government publications by the Jiphyeonjeon scholars, which were compiled and published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included such confusion, response, and limitation points during that time. In Chapter 2 of the text, the conditions and environment of writing sentences that the scholars encountered are estimated. In Chapter 3, the scholars’ prefaces and postfaces included in Goryeosa, Hyangyakjipseongbang, Tongamhuneui, and Yongbieocheonga are analyzed. Except that Choi Manri’s appealing has been deemed exceptional up to now, another scene of legislation and creation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which received little attention, is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respon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sentences that the scholars encounter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literature centered around the scholars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Moreover, much of the legislation and creation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was achieved or completed in the era of the next king. In this regard, the need to evaluat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achievements during the era of King Sejong has been also raised without absolutizing them with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era removed.

Ⅰ. 서론
Ⅱ. 집현전 학사의 문장 쓰기, 조건과 환경
Ⅲ. 비전과 현실, 문장의 책무와 한계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