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요시하라 이사무(吉原勇)의 수필 『내려진 일장기-국민학교 1학년생의 조선일기』(2010)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말기와 인양기에 관한 재조일본인으로서의 조선 인식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자 요시하라 이사무는 종전 전후에 재조 일본인으로서 인천에서의 경험을 회고하고 있다. 그는 미국이 어제의 적에서 오늘의 조력자가 되는 현실 모순의 상황을 인식한다. 또 그는 조선인을 이분법적으로 도식화(나쁜 조선인/착한 조선인)하여 일제강점기 조선(인)에 대한 정형화를 강화하는 한편 착한 조선인 에피소드를 통하여 기존의 조선(인) 인식을 전복하기도 한다. 요시하라는 ‘제국의 브로커’도 아니고 ‘식민자의식’이 강렬하지도 않았던 한 재조일본인으로서 인양기 인천의 체험을 ‘화해를 위한 기억’으로 재구성하였다.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Koreans by the Japanese living in Korea regarding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eriod of salvage an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Isamu Yoshihara’s essay “The Japanese Flag Dropped - Chosun Diary of a First Year Student at Elementary School” (2010). The author, Isamu Yoshihara looked back on his experiences in Incheon as a Japanese based on the end of the war. He recognized the situation in which the United States confronts the reality of going from an enemy of the past to an enabler of today. He said to have subverted the existing Chosun (people) beyond the good Chosun people episode that strengthened the standardization of Chosun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y picturing another Korean in a dichotomous way (bad Chosun people/good Chosun people). Yoshihara was neither an “Imperial Broker” nor had a strong sense of “colonialism.”, a Japanese residing in Korea, reconstructed the experience of Incheon during the salvage period as ‘memories for reconcil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