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교육적 지도서 개발 사례에 적용한 소설적 글쓰기 기법으로 살펴 본 예술기반 연구의 수학교육연구 활용 가능성 논의
Arts-based research as a valid method fo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Fiction writing applied to an activity of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서희주 ( Suh Heejoo )
수학교육 61권 4호 539-557(19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845691

학문의 발달은 연구자들의 꾸준한 노력뿐 아니라 패러다임의 수호와 전환을 거치면서도 이루어진다. 패러다임의 수호와 전환은 변칙적인 사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이루어진다. 수학교육학 역시 몇 가지 탐구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거치며 발달해왔다. 탐구적 패러다임의 전환은 이전 패러다임의 삭제를 의미하지는 않는다. 대신, 기존의 탐구적 패러다임이 건재하는 와중에 기존과는 다른 연구 목적 및 현상학적 기반을 가진 접근법이 발생함으로써 학계의 외연 확장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여전히 수학교육연구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이어야만 한다는 관점이 존재한다. 본고는 이러한 객관성이 모든 연구가 반드시 따라야만 하는 절대적인 원칙은 아님을 논증한다. 이를 위해 예술기반 연구를 일례로 제시한다. 예술기반 연구는 처음부터 객관적이기를 명백히 거부하며, 앎을 추구함에 있어 논리와 감성의 통합이 중요함을 주장한다. 연구 활동의 근본적인 목적이 지식 생산과 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있다면, 예술기반 연구는 이러한 본질의 실행에 충실하다. 본고는 예술기반 연구의 기법 중 하나인 소설적 글쓰기 기법을 적용하여 수학교육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물인 소설을 제시하였다. 그럼으로써 소설적 글쓰기 기법과 예술기반 연구를 수학교육연구의 주요 접근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적합한가에 대한 학계의 논의를 촉발하고자 하였다.

A research field develops by experiencing several turns of paradigms.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have experienced those turns as well. Still, the dominant perspective is that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should be scientific and objective. In this article, I suggest that this need not to be the prime rule to follow and that the mathematics education field will fertile by discussing extraordinary cases which may seem controversal to be recognized as valid research work. To this end, I first briefly describe the necessity of open discussions among researchers for a field to develop. Then, I introduce fiction writing, a resesarch method derived from arts-based research, as an extraordinary case for open discussions. The benefit of Arts-based research is on that it takes an holistic approach to how we know by embracing emotion and emphathy as means for knowing. Because of this trait, arts-based research holds a powerful potential for influencing a wide range of people,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resesarch field. Following this, I present a fiction about a prospective teacher who participated in an activity for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By doing so, I sought to provoke discussions among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about what to include as a valid research work, possible standards for reviewing arts-based resesarch.

서론
이론적 배경
소설적 글쓰기 기법
연구의 배경
모험이 우리를 인도하는 끝에는
논의
Acknowledgements
References
Appendix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