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몽골어, 만주어의 한계부동사어미비교 - 司譯院 蒙學書, 淸學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Suffixes for Terminal Converbs in Mongolian Language and the Manchu Language -Focusing on Studying Materials in Choseon’s Foreign Language Institution
주수현 ( Ju Su-hyeon )
인문학연구 53권 255-284(30pages)
DOI 10.35559/TJOH.53.8
UCI I410-ECN-0102-2023-000-000868720

본고는 18세기 조선시대 사역원에서 몽골어와 만주어의 학습교재로 편찬하였던 蒙學書(『蒙語老乞大』, 『捷解蒙語』, 『蒙語類解』)와 淸學書(『淸語老乞大』, 『三譯總解』, 『同文類解』)에 나타난 몽골어와 만주어 한계부동사어미의 용례를 형태와 구조, 의미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여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양언어에서 나타난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단순히 음운이나 단어의 유사성이 아닌, 동사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연결어미 자체의 형태가 거의 유사하고, 선행하는 품사의 종류 또한 동일할뿐더러 실제로 사용되는 의미도 같은 몽골어와 만주어의 한계부동사어미를 용례를 통하여 비교해보았다. 문헌에 나타난 예시를 비교해봄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해낼 수 있었다. 1) 기본적으로 몽골어와 만주어의 한계부동사어미는 형태가 유사하다.(몽골어: tal-a/tel-e, 만주어: tala, tele, tolo) 2) 두 언어에서 모두 한계부동사어미가 모음조화 법칙에 따라 동사어간에 연결된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3) 일반동사 어간뿐만 아니라 조동사 어간에도 연결되어 보조동사로서 기능하는 측면 또한 동일하다. 4) 기존의 연구들에서 다루지 않은 ‘도급(정도, 시간)’, ‘시점’, ‘범위(기간, 공간)’ 등의 의미의 확장과 역할들을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의미적 역할 또한 몽골어와 만주어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차이점으로는, 만주어의 경우 명사/대명사에 한계부동사어미가 연결되어 부사로서 사용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suffixes for terminal converbs examples of the Mongolian language and the Manchu language which appeared in the 蒙學書(『蒙語老乞大』, 『捷解蒙語』, 『蒙語類解』) and 淸學書(『淸語老乞大』, 『三譯總解』, 『同文類解』), published for studying materials in 18th century Choseon’s foreign language institution, on the aspects of form, structure and meaning, distinguishing the differences and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languages that belong to the Altaic language family. After comparing the examples shown in the references, we were able to deduce the following results. 1) Fundamentally, the form of the suffixes for terminal converbs in the Mongolian language and the Manchu language are similar. (Mongolian: -tal-a/-tel-e, Manchu: -tala/-tele) 2) In both languages, the suffixes for terminal converbs attach to the to the verb stem, according to the rules of vowel harmony. 3) It is also same in both languages that the suffixes for terminal converbs attach not only to the lexical verb stem, but also to the auxiliary verb stem and functions as an assistant verb. 4) The extended applications and roles of concepts such as ‘reaching point (degree, time), ‘point of time’, ‘range (of period, of space), which are not covered in preexisting research, have been explained and these semantic roles also appear identically in both Mongolian and Manchu languages. One difference is that in the Manchu language, when ‘-tala/-tele/-tolo’ is attached to a noun/pronoun, it can be used as an adverb.

1. 서론
2. 형태 비교
3. 의미 비교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