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15.61.81
52.15.61.81
close menu
KCI 등재
능동적 환자의 요청: ‘코로나19와 함께 살기’와 관련하여
A Request for Active Patient: In Relation to “Living with COVID-19”
김준혁 ( Kim Junhewk ) , 강철 ( Kang Cheol )
인문학연구 53권 37-77(41pages)
DOI 10.35559/TJOH.53.2
UCI I410-ECN-0102-2023-000-000868664

코로나19 팬데믹의 위력과 피해는 점차 사그라들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여러 사회에 계속 잔존할 것이다. 우리는 ‘코로나19와 함께 살기’, 또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의 공존을 진지하게 검토해야 하는 시점으로 들어서고 있다. 그러나, 바이러스와 공존한다는 것의 의미는 아직 해명되지 않았다. 우리는 박멸할 수 없는, 즉 사회에 퍼져 늘 상존하는 감염병을 만성화되었다고 표현하며, 이런 만성화된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해선 개인이 그에 맞게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을 조율해 갈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을 위해서는 검토되어야 할 것들이 있다. 특히, 전통적으로 유지되어 온 수동적 환자라는 가정을 비판적으로 살펴야 한다. 논문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의료적 책임, 능동적 환자, 감염병의 만성화를 각각 검토하고, 이를 종합하여 감염병 속에서 삶을 실행하는 개인이 무엇인지 제시한다.

The power and damage of the Covid-19 pandemic seem to be gradually disappearing. However, the Covid-19 virus will continue to exist in many societies. We are entering an era when we should seriously consider “living with Covid-19” or co-existence with the Covid-19 virus. Then, what does co-existing with the virus mean? We frame the chronicity of the infectious diseases when it cannot be eradicated and spread to society and argue that individuals need to actively coordinate their lives to cope with this rampanting infectious disease. However, there are ideas that need to be clarified for this argument.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examine the traditional assumption of passive pati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paper reviews concepts of medical responsibility, active patient, and chronicity of infectious disease and synthesizes them to present the individuals enacting life within infectious disease.

1. 들어가며
2. 코로나19와 함께 살기, 또는 공존이란 무엇인가
3. 의료적 상황에서 환자에게 책임이 있는가
4. 수동적 환자 대 능동적 환자
5. 능동적 환자란 무엇인가
6. 나가며: 항시적인 노력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