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222.23.94
18.222.23.94
close menu
}
KCI 등재
K-CBCL 6-18 조절곤란 프로파일 수준에 따른 아동·청소년의 심리장애 분포와 증상 수준의 차이: 아동복지시설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and Symptom Levels of Psychological Disorder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K-CBCL 6-18 Dysregulation Profile Level: A Special Focus o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Child Foster Care
최연수 ( Choi Yeon-su ) , 하은혜 ( Ha Eun-hye )
DOI 10.17641/KAPT.25.4.2
UCI I410-ECN-0102-2023-100-000868107

본 연구의 목적은 K-CBCL 6-18 조절곤란 프로파일 수준에 따른 심리장애의 분포와 증상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2020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 지원 시범사업’에 참여하여 심리장애 진단을 받은 아동·청소년 959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DP 집단은 Non-DP 집단보다 틱장애를 제외하고 ADHD, 기분장애, 불안장애 등 다양한 심리장애에 속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둘째, DP 집단의 공존장애 개수는 Non-DP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많았다. 셋째, DP 집단은 Non-DP 집단보다 공격성, 충동성, 우울 증상, 불안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았다. 한편 전체 집단 중 아동 DP 집단은 Non-DP 집단보다 ADHD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소년 집단의 ADHD 척도 점수는 DP 집단과 Non-DP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CBCL 조절곤란 프로파일 수준이 높은 아동·청소년의 경우, 더 심각하고 다양한 심리장애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stribution of psychological disorders and the differences in symptom level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CBCL Dysregulation Profile. The subjects comprised 959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had all been diagnosed with psychological disorders. In terms of our results; firstly, the DP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frequency of belonging to ADHD, mood disorders, anxiety disorders, etc, groups, (with the exception of tic disorders), than the Non-DP group. Secondly, the number of comorbid disord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P group. Thirdly, the DP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aggression, impulsivity, depression, and anxiety scales than the Non-DP group. Meanwhile, the children’s DP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DHD scale score than the Non-DP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adolescent group. This study suggests that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 high CBCL dysregulation profile have a tendency to experience more serious and more varied psychological disorders.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