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덕왕 사후 벌어진 왕위계승 분쟁에서 김경신은 왕위계승 우선권자인 김주원을 무력으로 누르고 즉위하였다. 김주원계의 반발이 봉합된 상황에서 즉위 당시 고령이었던 원성왕이 후계 왕위 계승을 공인받지 못할 경우 왕위계승 분쟁이 재발될 가능성이 켰다.
원성왕은 재위 14년 동안(785~798) 3차에 걸쳐 태자를 책봉했다. 원성왕의 큰 아들 혜충태자 김인겸, 둘째 아들 헌평태자 김의영이 차례로 태자에 지명되었지만, 원성왕의 재위 중에 죽었다. 원성왕 11년에 왕의 손자 김준옹이 세 번째 태자로 책봉되어 마침내 왕위를 이어갈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2차례 태자위가 공백인 시기도 있었다. 태자제도가 정착화된 이래 3차례에 걸친 태자 책봉뿐 아니라 손자의 태자 책봉도 신라에서 유일한 것이다.
왕의 손자가 시중에 임명된 것도 원성왕대에 처음 나타났다. 원성왕의 손자 김준옹은 혜충태자가 죽은 후 1차 태자부재 시기에 시중에 임명되었으며, 또 다른 손자 김언승은 헌평태자가 죽은 후 2차 태자 부재 시기에 시중에 임명되었다. 또한 모두 시중에서 물려나면서 병부령으로 승진하였다.
원성왕대는 하대의 권력구조를 특징짓는 왕실친족집단원에 의한 권력 장악, 권력집중의 한 전형이 확립되어 가던 시기였다. 그것은 연로한 나이에 즉위한 원성왕이 자신의 아들과 손자를 다음 후계왕위 계승자인 태자로 책봉하며 시행한 정국 운영 과정에서 나타났다. 때문에 원성왕대의 근친 왕족들의 정치 요직 등용은 3차례의 태자의 책봉과 관계가 있으며, 하대정치의 특징과도 연결지울 수 있다.
As King Wonseong(元聖王) was advanced in age when he was enthroned, it was urgent to select a successor to the throne. With the resistance of Kim Juwon’s lineage sealed, a succession dispute must have taken place if the succession to the throne would fail to be acknowledged.
King Wonseong installed three crown princes in his reign lasting for 14 years. King Wonseong's eldest son, Kim Ingyeom(金仁謙), Hyechung Taeja(惠忠太子), and his second son, Kim Euiyoung(金義英), Heonpyeong Taeja(憲平太子), were designated as a crown prince each, but they both failed to ascend the throne as they died before King Wonseong did. Year eleven of King Wonseong’s reign, Kim Junong(金俊邕) was installed as the third crown prince and finally succeeded to the throne. In this process, there was a period that there was no crown prince twice. The third crown prince, Kim Junong, was the grandson of King Wonseong.
King Wonseong's grandson, Kim Junong, was appointed as Sijung(侍中) after the death of Crown Prince Hyechung, and another grandson, Kim Eonseung(金彦昇), was appointed as Sijung after the death of Crown Prince Heonpyeong. Also, both were promoted to Byeongburyeong(兵部令) when withdrawn from the post of Sijung.
King Wonseong’s reign was the time when a type of power grasp and concentration by the members of the royal family characterizing the power structure of late Silla was being established. It happened in the process that King Wonseong who had ascended the throne at an old age selected his son and grandson as the next heir to the throne. Therefore, the appointment of close relatives of the royal family to important political posts during King Wonseong’s reign i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installation of those three crown pri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