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 분석 및 위험지역 예측 -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비교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Dieback and Prediction of Dangerous Areas by Comparing Ensemble Model and MaxEnt - Focused on Wangpicheon Valley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Uljin, Korea -
이승재 ( Seung-jae Lee ) , 신동빈 ( Dong-bin Shin ) , 이아림 ( Arim-lee ) , 송재순 ( Jaisoon Song ) , 임치홍 ( Chi-hong Lim ) , 오승환 ( Seung-hwan Oh )
UCI I410-ECN-0102-2023-400-000872884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소나무는 산림분야에서 중요한 자원으이며 문화적 차원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어 소나무 보존 가치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소나무 숲의 보호는 산림을 구성하는데 침엽수와 활엽수 공존에 기여하고 ‘혼효림’을 구성하여 산림생물다양성에 기여하는 등 중요한 요소로 간주된다. 그러나 최근 금강소나무 최대 군락지로 알려진 경북 봉화, 울진에서 지속적인 소나무 피해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는 기상이변, 지속적인 기온 상승 등 생리적 스트레스로 인한 소나무림 피해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구체적인 원인규명과 선제적 임분관리 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내 고사목의 특성을 분석하고, 고사 원인에 따른 확산 지역 예측·분석을 통해 보전대책 수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 왕피천 생태경관보전지역 면적은 102.84㎢, 핵심구역 45.35㎢, 완충구역 55.64㎢, 전이구역 1.85㎢로 구분되어 있다. 2021년 원격탐사를 통해 핵심구역 내 고사 소나무 발생지점을 추출하였으며, 2022년에는 핵심구역 외 지역을 수행하였다. 원격탐사를 통해 확보된 집단 고사 발생지점을 현장 조사 수행하여 소나무 고사목 발생 위치를 파악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 고사의 기준은 고사가 발생한 지점을 중심으로 방형구를 설치하였을 때, 소나무 고사목이 4본 이상 발생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고사지역 내 분석 샘플 추출은 선행연구에 따라 고사지역 내부에 5m 격자 교차점을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생육지역은 고사 소나무 위치로부터 30m 이상 떨어져 있는 지역을 분석에 활용하여 출현/비출현 지점 자료를 수집하였다. 고사/생육지역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지형학적 수분지수(Topographic Wetness Indw, TWI), 경사, 영급 등 총 9개 변수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활용변수를 기반으로 출현/비출현 형태 자료만을 요구하는 모델을 사용하여 종합한 앙상블 모형과 출현지역 자료만을 사용하는 MaxEnt 모형을 사용하여 다중모형과 단일모형의 성능을 비교하고 최적의 고사 확산 예측 모델과 원인 규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MaxEnt 모형과 앙상블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핵심구역 내 집단고사지 샘플로 추출된 지점을 바탕으로 왕피천 생태·경관 보전지역 내 고사 위험지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모형 모두 집단고사지 지점 예측은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였으나 개별 단위 소나무 고사지점의 예측정확도는 높지 않았다. MaxEnt 모형은 집단 고사지 예측지점을 기준으로 해당 지점과 유사한 환경변수를 갖는 주변지점도 추출되어 면적이 넓게 추출, 앙상블모형은 집단 고사지 지점만 예측되어 MaxEnt 모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발휘하였다. 특히, MaxEnt 모형은 고사 소나무 발생 특성에 있어 수분 지수, 향, 지형적 위치가 주요한 원인으로, 앙상블 모형은 수분 지수, 향, 경사가 모형에 중요 변수로 선정되었다. 두 모형의 중요 변수를 종합하였을 때 소나무 고사 위험지역은 지형적 위치가 산정에 위치하며, 수분이 부족하고 동시에 남사면에 고사 분포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앙상블 모형과 MaxEnt 모형 결과를 비교 분석 및 종합하여 소나무 고사 위험지역을 추정하고, 지형적·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여 고사 소나무 특성을 분석하는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