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농업용 저수지에 대한 수재해 잠재영향 평가
Evaluating the Potential Impact of Climate Change on Agricultural Reservoir regarding Drought and Flood
김시호 ( Siho Kim ) , 장민원 ( Min-won Jang ) , 황세운 ( Syewoon Hwang )
UCI I410-ECN-0102-2023-500-000893628
이 자료는 4페이지 이하의 자료입니다.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무료로 이용 가능한 자료입니다.

우리나라는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 제47조 2항에 근거하여 농업·농촌, 임업·산림, 농어촌용수 및 농업생산 기반시설분야에 미치는 기후변화 영향·취약성을 5년마다 조사·평가하고 있다. 국가물관리기본계획과 유역물관리종합계획에서도 농업부문에서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 평가와 적응방안이 중요 과제로 고려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시설 중 실시간계측을 실시하는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 기반의 미래 기상자료를 적용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수재해 잠재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SSP 585를 적용하고 치수영역의 기후노출 부분 연평균 강수량, 강수일수 등 6개 항목과 민감도 부분 관개면적, 홍수대비 사전 방류일수 등 3개 항목, 그리고 이수영역의 기후노출 부분 연평균 일평균기온, 연평균 강수량 등 7개 항목과 민감도 부분 연평균 유효우량, 관개면적 등 6개 항목을 평가항목으로 설정하였다. 기후노출 항목 평가를 위해서 CMIP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에서 제공하는 SSP 시나리오의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격자자료를 활용하여 downscaling과 bias-correction 과정을 거쳐 기상변수별 ASOS (Automatic weather system) 지점단위 일별 미래 기상자료를 생산하여 적용하였다. 민감도 항목 중 저수율 평가를 위해서 한국농어촌공사의 K-HAS (KRC Hydraulics & Analysis System) 모델을 사용하여 저수율 모의를 하였고, 일별 미래 기후변화 자료로부터 유입량과 수로손실에 대한 보정을 거쳐 2021년부터 2050년까지 일 저수율을 모의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