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해외 건설산업의 사례에 의한 국내 건설 업종 분류체계의 비교 분석
Analysis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through an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Case Study
김정욱 ( Kim Jeong-wook ) , 김규용 ( Kim Gyu-yong ) , 최민수 ( Choi Min-soo ) , 남정수 ( Nam Jeong-soo ) , 이상수 ( Lee Sang-soo )
UCI I410-ECN-0102-2023-500-000902062

건설업은 타 업종에 비하여 정보비대칭 문제가 복잡하게 산재하고 있는 구조를 갖고 있으며, 현행 국내 건설업 등록과 관련된 건설업종 분류 체계는 신설, 통합, 폐지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종합건설업과 전문건설업으로 구분하여 통ㆍ폐합을 추진하고 있다. 건설업 업종분류체계는 건설시장에 진입하는데 지침이 되고, 건설수요자가 적정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급자를 선정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건설업등록제도의 운용 목적이나 취지로 판단할 때, 건설업종 분류 체계를 합리적으로 검토하여 설정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건설업 등록 업종 분류체계에 관한 리스크 요인을 고려하여 개선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본, 미국, 호주 등의 해외의 건설업 면허나 등록제도에서 운영하고 있는 건설업종 분류 체계에 대한 사례 조사를 수행하여 이를 국내 업종 분류 체계와 비교하여 시사점 및 개선 방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a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asymmetry problems are complexly scattered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Since the constructio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serves as a guideline for entering the construction market and can provide as a standard for construction consumers to select a supplier who can provide appropriate services, when judging the operation purpose or purpose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registration system, it is very important to set up the system by rationally reviewing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improv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registratio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To this end, we will conduct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operated by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licenses or registration systems 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and compare it with the domestic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to deriv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1. 서 론
2. 해외 건설산업 업종분류 체계 분석
3. 국내ㆍ외 건설업종 분류 체계 비교 및 분석
4. 결 론
요 약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