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3
216.73.216.143
close menu
KCI 등재
차별금지의 대상으로서 장애 개념의 포괄성: OECD 국가의 차별금지법에 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Broadness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in Anti-discrimination Laws of OECD Countries
오욱찬 ( Oh Ukchan )
비판사회정책 53권 442-486(45pages)
UCI I410-ECN-0102-2023-600-000921837

본 연구는 OECD 국가의 차별금지법에 적용되는 장애 개념의 포괄성을 비교ㆍ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 학설을 바탕으로 다음의 네 가지 평가기준을 도출하여 적용하였다. 1) 장애 개념의 구성요소에 활동ㆍ참여 제약이 포함되는지 여부, 2) 장애의 심각성을 제한하는지 여부, 3) 장애의 지속성을 제한하는지 여부, 4) 현재장애 외에 과거장애, 미래장애, 간주장애, 장애인과 관련된 사람까지 포함하는지 여부. 평가 결과 호주, 핀란드, 아일랜드, 노르웨이는 모든 기준을 충족하여 장애 개념이 가장 포괄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한국은 에스토니아, 프랑스, 그리스, 일본, 룩셈부르크, 폴란드, 슬로바키아, 영국과 함께 협소한 장애 개념을 갖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장애 개념이 갖는 협소함을 극명하게 보여주며,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장애 정의의 수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ncept of disability in anti-discrimination laws of OECD countries. The concept of disability is evaluated for its personal scope, and these analyses are based on legal materials, i.e., legal texts, cases, preparatory works, and explanatory memorandum. The broadness of the concept of disability was evaluated using four indicators drawn from the relevant theories. Specifically, the concept of disability is regarded as broad wherein the definition a) does not include limitation of activity or restriction of participation in social life; b) is not based on a certain severity of impairments or limitations; c) does not require any lasting condition; and d) covers not only present disabilities but also past, future, and assumed disabilities and their associates. Analyses show that definitions in Australia, Finland, Ireland, and Norway satisfy all four conditions and represent the broadest concept, whereas the definitions in Estonia, France, Greece, Japan, Luxembourg, Poland, Slovakia, South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are very narrow. Based on these results, several alternatives for the definition of disability in Korean disability anti-discrimination law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장애 개념 판단에서의 이슈
Ⅴ. 장애 개념의 포괄성 평가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