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23
216.73.216.123
close menu
KCI 등재
부와 모의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애적 취약성과 정신화된 정서성의 매개효과
Paternal and Maternal Separation-Anxious Psychological Control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Vulnerable Narcissism and Mentalized Affectivity
정유선 ( Chung You Sun ) , 안명희 ( Ahn Christine Myung Hee )
청소년학연구 29권 10호 267-293(27pages)
DOI 10.21509/KJYS.2022.10.29.10.267
UCI I410-ECN-0102-2023-300-000918011

본 연구에서는 부와 모의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애적 취약성과 정신화된 정서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총 341명의 국내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연구 결과 첫째, 부와 모의 분리불안 심리적 통제는 자기애적 취약성과 정신화된 정서성을 통해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모의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는 자기애적 취약성과 정신화된 정서성을 부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우울로 이어지는 개별적 경로와 이 과정에 자기애적 취약성과 정신화된 정서성의 차별적 영향, 상담적 함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aternal and maternal separation-anxious psychological control(SPC) and achievement -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APC)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vulnerable narcissism(VN) and mentalized affectivity(MA).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341 Korean college students. Results based on the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VN and MA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and maternal SPC and depression. Second, VN and MA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PC and depression. Implications of the current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