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6.176.19
3.146.176.19
close menu
}
KCI 등재
은둔형 외톨이 청년들의 특성 및 은둔 경험 분석
Analyses on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Experiences among Korean Hikikomori
김혜원 ( Kim Hyewon )
DOI 10.21509/KJYS.2022.10.29.10.1
UCI I410-ECN-0102-2023-300-000917923

본 연구는 은둔형 외톨이 당사자 및 그들 부모와의 심층면담과 그들이 활동하는 온라인 카페 분석을 통해 은둔형 외톨이의 특성과 이들이 경험하고 있는 현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은둔형 외톨이 47명과 은둔형 외톨이 자녀를 둔 부모 34명, 총 81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1:1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또한 은둔형 외톨이와 그 부모가 주로 활동하는 국내 대표적인 온라인 카페 5개를 선정하여 카페에 올라있는 글의 내용과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은둔형 외톨이는 20대, 남자, 맏이, 대재이상이 가장 많고, 어린시절 이사 및 전학경험이 많고, 심리적으로는 우울, 강박증, 대인예민성에 시달리는 정도가 높았다. 은둔의 계기로는 대인관계 어려움과 학교 및 직장 부적응이 가장 많았다. 은둔생활 동안에는 주로 부모와 생활하며, 대화상대가 없고, 불규칙한 생활습관을 가지며, 경제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또한 자해나 가해 경험은 많지 않지만 개인차가 크고 행할 경우에는 충동적이고 방어적인 특징을 보였다. 이들은 과거 상담이나 치료의 경험이 많음에도 효과에 대해서는 회의적이었고, 과거와 현재 모두 주변사람들과 가족의 신뢰와 지지 및 기다려줌을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 여기고 있었다. 은둔형 외톨이 부모 역시 멘토링, 부모교육 등의 전문적 도움과 지원시스템 및 정책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ore in detail the reality of hikikimori and the reality they are experiencing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hikikomori and parents of hikikomori and through the analysws of online cafes where they are active. For this purpose, 1:1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47 hikikomori young people and 34 parents with hikikomori children, a total of 81 persons. In addition, we selected 5 representative online cafes in Korea where the reclusive loner hikikomori and their parents are mainly active, and analyzed the content and keywords of the articles posted on the caf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ost common hikikomori were in their twenties, male, eldest, and over dropping out of college. They also had a lot of experience in moving and transferring in childhood, and suffered from depression, obsessive compulsive symptom,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school and workplace maladjustment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starting of hikikomori life, and during seclusion they mainly lived with their parents, had no conversational partners, had irregular lifestyles, did little economic activity, and were spending most of their time using computers and smartphones. Although there were not many experiences of self-harm or harm, individual differences were large, and when they did, they showed impulsive and defensive characteristics. Although they had a lot of experience in counseling or treatment in the past, they were skeptical about the effectiveness, and they answered that the trust, support, and patience of those around them and their families were the most necessary support in both the past and the pres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