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ubjective Happiness Perceived by Adolescents on Empathy 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이해순 ( Haesoon Lee ) , 변상해 ( Sanghea Byun )
인문사회 21 13권 5호 2973-2988(16pages)
DOI 10.22143/HSS21.13.5.207
UCI I410-ECN-0102-2023-300-000926560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모 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 인천, 화성 등 경기도 내 거주 청소년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8.0과 Hayes(2013)에 의해 제안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2022년 7월 10일에서 8월 20일까지 277부 중 26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주관적 행복감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정(+)적인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의 신뢰성 보장을 위해 후속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의 지역 및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make sure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subjective happiness and empathy abil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277 youths residing in Gyeonggido, including Incheon and Hwaseong,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Process Macro suggested by Hayes (2013). From July 10 to Aug. 20, 2022, 265 copies out of 277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bjective happiness on empath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the effect of subjective happiness on empathy. In this study, parent-child communication showed a positive (+)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happiness and empath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results, it will be the necessary to expand the region and scope of the research subjects in subsequent stud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