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남성음악밴드의 진화: 19세기 말 이발소 4중주부터 K-Pop 밴드의 폭발까지
Evolution of Male Music Bands: From Barbershop Quartets of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xplosion of K-pop Bands
이월해 ( Yuehai Li )
인문사회 21 13권 5호 2009-2024(16pages)
DOI 10.22143/HSS21.13.5.140
UCI I410-ECN-0102-2023-300-000925896

연구 목적: 본 연구는 남성음악밴드의 발전 과정을 제시하고, 사회과학이론을 통해 동 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채택하여, 관련 학술연구 등의 문헌을 조사하고 분석에 활용한다. 연구 내용: 발전과정으로 남성보컬그룹의 기원, 20세기 초중반의 남성음악밴드 장르에 대한 청사진, 현대 남성음악밴드에 대한 모형, 서구 남성음악밴드의 급증, 동양 남성음악밴드의 증가, 그리고 케이팝의 남성음악밴드 산업 접수 등을 살펴본다. 그리고 집단적 열광, 팬들과의 동조화, 성별역할의 고정관념 등의 사회과학적 이론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분석한다. 결론 및 제언: 결론적으로 남성음악밴드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이끌어왔으며, 이들의 인기에 힘입어 경제적 발전 효과까지도 창출해왔다. 향후 이들의 인기에 대한 다양한 요인에 대한 연구 및 이들이 야기한 음악산업에 대한 여러 영향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evolution of male music bands and analyze their syndrome via sociological theories. It employs a qualitative research as its methodology, in which the relevant academic research and literature were search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evolution of the bands include the origin of the male vocal group, the blueprints for the male music band genre in the early to mid-20th century, the template for the modern male music band, the explosion of modern male music bands in the West, the growing popularity of male music bands in the East, and the takeover of K-pop in the male music band sphere. Then the phenomena are analyzed through sociological theories of collective effervescence, fan identification, and stereotypes of gender roles. In conclusion, male music bands have driven socio-cultural changes and contributed to economic development as they continue to become more popular. It is suggested to explore further the various factors of their popularity and their different impacts on the music industry.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Methods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