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3
216.73.216.163
close menu
KCI 등재
자기애가 스포츠 용품의 강박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비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Narcissism on Compulsive Purchase of Sports Supplies: Focusing 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nsumption Propensity
최미연 ( Choi Miyeon ) , 이형석 ( Lee Hyungseok )
DOI 10.35736/JCS.33.5.2
UCI I410-ECN-0102-2023-300-000923605

현대사회에서의 소비는 사회적 기호와 같은 상징으로 표출되고 개인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다양한 가치를 함의한다. 특히 스포츠 용품 구매에 있어 개인의 소비 성향은 사회와 문화, 경제 등의 외부적 요소와 개인의 내재적 요소가 접목되어 자신의 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써 강박적 구매 성향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스포츠도 하나의 소비재로써 이전의 연구에서는 자기애와 성취감 등 개인의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개인의 소비성향과 성격특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스포츠 용품 구매의 관점에서 고찰한 연구는 한정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와 소비성향이 강박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스포츠 용품 구매에 있어 자기애가 강박적 구매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자기애가 과시적 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과시적 소비성향이 강박적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애와 강박적 구매 간 관계에서 소비성향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용품 구매에 있어 자기애와의 상관성을 이론적으로 재논의하고 자기애와 강박적 구매 간 관계에서 소비성향이 조절된 매개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검증의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연구는 새로운 소비문화 경향과 함께 스포츠를 통한 성취목표, 행복감, 소비성향 등에 미치는 효과 차이와 개인의 경제적, 문화적 자본의 차이, 가치체계 및 성향체계의 관점에서 심도 있는 논의가 가능해질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Consumption in modern society is expressed as a symbol such as a social symbol, reveals individual identity, and implies various values. In particular, in purchasing sports equipment, an individual's consumption propensity is expressed as an obsessive purchase propensity as a way to maximize one's value by combining external factors such as society, culture, and economy. Sports are also a consumer product, and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individual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uch as self-love and achievement, bu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onsumption propensity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rom the perspective of purchasing sports goods. In this study,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SPS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effect of narcissism and consumption propensity on compulsive purchas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narcissism had a positive (+) effect on compulsive purchase in purchasing sports goods, narcissism had an effect on ostentatious consumption propensity, and ostentatious consumption propensity had an effect on compulsive purchas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oretically re-discuss the correlation with narcissism in purchasing sports goods and have the significance of empirical verification that consumption propensity has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compulsive purchase. These studies can provide a basis for in-depth discussion in terms of the difference in effect on achievement goals, happiness, and consumption propensity through sports, individual economic and cultural capital differences, value systems, and propensity systems.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