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등재
통계적 문제해결 교육의 관점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자료 수집 지도 방식 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eaching of Data Collec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from the Perspective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Education
탁병주 ( Tak Byungjoo ) , 고은성 ( Ko Eun-sung )
초등수학교육 25권 4호 329-341(13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92329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자료 수집은 통계 정보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절차이지만, 우리나라의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는 자료 수집이 다소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4학년 수학 교과서(국정 1종, 검정 10종)의 통계 단원에서 사용되는 자료의 수집 방법은 어떠한지, 그리고 통계 단원을 통해 자료 수집 방법을 어떻게 지도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료들은 설문조사, 실험/관찰, 문헌조사 등 다양한 방법으로 수집된 것들이었으나, 교과서에서 지도하고 있는 자료 수집 방법 중 실험/관찰의 비중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교과서별로 자료 수집 방법 지도 방식이 다르게 나타남으로 인해 학생들이 경험, 학습하게 되는 내용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통계교육에서 자료 수집 방법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수학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점을 도출하였다.

Data collection is crucial to the process of statistical problem solving since it influences the quality of statistical data. However, there is little instruction on data collection in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In this study, we examined how the data were collected and how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taught in the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or 3rd and 4th grades. As a result, the data appeared in these textbooks were collected by using a variety of methods, including surveys, experiments, observations, and secondary data collections. There were not enough instructions on experiments and observations, compared to surveys and secondary data collection. Additionally, as each textbook works with a distinct contents while teaching data collec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ould be variations in the levels that students learn in relation to data colle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draw some discussion points to determine how to improve the mathematics curriculum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data collec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