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으로 자취를 남긴 위인이나 인물들의 삶과 운명을 대하는 데 있어서는 많은 평가들이 혼재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급격한 혼란과 위기의 시대, 이른바 난세에는 영웅이나 뛰어난 리더십을 지닌 지도자의 가치가 더욱 두드러지고 빛을 발한다. 국가적인 위기를 겪고 나면 대부분 혼란과 위기의 시대를 헤쳐나간 리더와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재조명이 증가하는 것도 자연스럽다.
서애 류성룡을 주인공으로 하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상영되면서 서애선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한 바 있다. 무엇보다도 위대한 것은 ‘징비록(懲毖錄)’이라는 역사적 기록을 남김으로써 400년 전의 실상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게 하였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정작 ‘오래된 미래’라는 표현에서처럼 불확실한 위험사회로서의 내일에의 ‘징비(懲毖)’를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오늘날 한국사회에 짙게 드리운 위기적 상황에서 해법을 찾고자 하는 사회학자의 관심과도 절묘하게 맞물린다. 최근에는 다양한 리더십이나 경영학, 역사학, 정치학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서애 류성룡에 대한 연구와 조망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서애류성룡의 학문과 실천에 대한 사회사상적 관점에서의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는 이유이다.
400여 년 전이었다고는 하나 임진왜란이라는 전쟁을 맞이한 위기의 시대적 상황에서 도학자이자 정치가로서 두드러진 면모를 보였던 서애 류성룡 선생에 대한 조명은 오늘날의 정보화와 세계화를 중심으로 하는 4차산업혁명의 시대에서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코로나펜데믹과 끊이지 않는 전쟁의 모습들, 무엇보다도 무너진 리더십의 시대적 잔상과 대비되며 현대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류성룡이 갖춘 학자이자 정치가로서의 뛰어난 식견은 임진왜란이라는 난세에 빛을 발했다. 이반된 백성들의 민심과 당파로 대립하며 표출되는 갈등을 조정에서 관료로써 조율하며 이끌어나갔다. 결과적으로 그의 리더십은 나라를 패망의 위기에서 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후에는 견제하는 붕당세력들과 임금의 시샘 앞에서 차별당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미련없이 떠나며 동양적 리더십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이는 오늘날과 같은 급격한 사회변동과 가치부조화의 시기에 보이고 있는 천박한 ‘관료’들의 행태와 대비되며 시대읽기와 현대적 조망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논의에서는 서애 류성룡의 생애를 조망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그의 생애와 삶이 오늘날의 현대사회에 지니는 의미를 시론적으로 조망하며 현재적 의미를 찾아나서는 탐색적 작업의 과정이다. 이를 통해 현재적 의미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Many evaluations are mixed in dealing with the lives and fate of great people or characters who have historically left traces. However, in the era of rapid chaos and crisis, the value of a hero or a leader with outstanding leadership shines even more prominently. After going through a national crisis, it is also natural that interest and re-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leaders, who have mostly survived the era of chaos and crisis, increase.
As a television drama featuring Seo-ae Ryu Seong-ryong was screened, social interest in Seo-ae increased. Above all, the great thing is that by leaving a historical record called "Jingbirok," it was possible to vividly experience the reality of 400 years ago.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as in the expression "old future," it is demanding "punishment" for tomorrow as an uncertain risk society. This is also exquisitely in line with the interest of sociologists who want to find a solution in the crisis situation that has deeply hung over Korean society today. Recently, research and views on Seoae Ryu Seong-ryong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eadership, business administration, history, and politic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thought on the study and practice of Seo Ae Ryu Seong-ryong. This is why we are trying to study this.
Although it was more than 400 years ago, Seoae Ryu Seong-ryong, who was prominent as a scholar and politician in the fac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hows that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entered on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we face the constant war and the aftermath of the collapsed leadership.
Ryu Seong-ryong's excellent insight as a scholar and politician shone in the turbulent times of the Imjin War. He led by coordinating the conflicts expressed by opposing the public sentiment of the displaced people and the factions as bureaucrats in the mediation. As a result, his leadership could save the country from the brink of defeat. However, after the war, he was discriminated against in front of the king's envy with the Bungdang forces who were in check. Nevertheless, he leaves without regret and shows typical of Asian leadership.
This contrasts with the behavior of shallow "bureaucrats" in today's era of rapid social change and value dissonance, and has great implications for reading the times and modern views. This discussion focuses on looking at the life of Seo Ae Ryu Seong-ryong. It is a process of exploratory work that looks at the meaning of his life and life in today's modern society in an poetic way and finds the meaning of the present. Through this, the present meaning can b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