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을 소재로 한 시조를 주제별로 정리한 후 눈의 의미와 상징을 고찰해 보기 위해 먼저 ‘눈’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작품 77수를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에서 편찬한 『고시조 대전』에서 찾았다. 내용과 주제에 따라 자연과 은일(隱逸), 애정(愛情)과 사모(思慕), 우국(憂國)과 충절(忠節), 그리고 탄로(嘆老)와 수용((受容)으로 나누고 그 안에서 눈이 어떻게 사용되고 표현되었는지, 눈이 주는 이미지는 어떤 것인지 분석해 보았다.
눈은 깨끗함과 고결함, 곧고 바름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사용되기도 하고 참담하고 어려운 현실과 시대 상황, 혼란스러움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로 사용되었으며 겨울의 아름다움이나 세월의 모습을 표현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눈이라는 소재가 시각적, 감각적 이미지로 시조의 주제, 즉 화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를 좀 더 명확하게 잘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I found 77 Sijo written about snow in “Goshijo Daejeon” - compiled by the Korea University’s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They were then reduced to 16 before being divided into categories of loyalty, seclusion, affection, and lamentation; then analyzed by what they represented and how they were expressed. Snow can represent cleanness, nobleness, and beauty; however, it can also conjure ideas of harsh realities, difficult times, and confusion. Through this, one can understand that the subject of the poem is conveyed more clearly with the visual and sensory images of snow, and its color conveys the artist’s feelings through clear contrast or harmony with other col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