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캠퍼스 창업생태계와 지역문화: 서울대와 카이스트 비교를 중심으로
Campus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Regional Culture: A Comparis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IST in Korea
천유영 ( Youyoung Chun ) , 구양미 ( Yangmi Koo )
UCI I410-ECN-0102-2023-300-000951807

본 연구는 한국의 창업생태계 발달 과정에서 기업가정신이 지역별로 어떻게 차이를 보이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탐구한다. 19인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여 서울대와 카이스트라는 캠퍼스 창업생태계를 연구대상으로 각 생태계의 형성과정과 구성요소를 비교했다. 첫째, 두 생태계는 1996년을 전후로 창업생태계를 형성해 현재는 다양한 지원조직과 행위자들을 보유한 ‘제2벤처붐’을 경험하고 있다. 둘째, 두 생태계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속성에서 차이점을 보였다. 특히 네트워크 구조에서 서울대 생태계는 뚜렷한 앵커기관이 존재했으나 카이스트 생태계는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두 생태계의 네트워킹 문화가 차이를 보임은 고유한 지역문화로 인해, 개인이 인식하는 지역의 기업가적 기회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었다. 즉, 창업생태계의 유지 및 성장 과정은 본질적으로 문화적이며, 지역마다 차이를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how and why entrepreneurship differs by region concerning the history of Korea’s entrepreneurial ecosystems (EEs).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19 interviews, this article compares the history and compon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EEs. First, these ecosystems emerged around 1996 and are currently experiencing the second startup boom, with various supporting organizations and actors involved. Second, these ecosystems revealed differences concerning material, social and cultural attributes. Third, differences in the networking of the two ecosystems are due to different regional cultures, which allow individuals to interpret entrepreneurial opportunities. In other words,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EEs are cultural in essence and display regional variation.

1. 들어가며: 한국의 창업생태계 역사
2. 이론적 배경
3. 연구대상과 연구방법
4. 서울대와 카이스트 창업생태계 발달 역사
5. 서울대와 카이스트 창업생태계 비교
6. 나가며: 기업가정신의 지리적 불균등성
사사
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