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엘리트 유도 여자선수와 남자선수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기초체력, 무산소성 운동능력 그리고 등속성 각근력을 비교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J시 고등학교 엘리트 유도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룹은 여자선수(n=9), 남자선수(n=9)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자료처리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 제자리멀리뛰기(p<.000), 서전트점프(p<.000), 사이드스텝(p<.024), 악력:좌(p<.000), 악력:우(p<.000), 배근력(p<.000)의 기초체력에서 여자선수보다 남자선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무산소성 운동능력의 피로지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평균파워(p<.000), 최고파워(p<.000)는 여자선수보다 남자선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등속성 각근력은 PT 60°/sec 각속도에서 좌신근(p<.009), 좌굴근(p<.031), 우신근(p<.003), 우굴근(p<.035)은 여자선수보다 남자선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근지구력 지표인 윗몸일으키기와 유연성에서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근력에서 두 그룹 간 큰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고등학교 유도선수, 특히 여자선수의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physical fitness, anaerobic performance, and isokinetic strength according to gender of high school elite Judo athletes.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eighteen Judo athlete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Female athletes group (n=9), Male group (n=9).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test.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ale athlete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tanding long jump, vertical jump, side-step, grip-strength:left and right, back strength value than the Female athletes group. The anaerobic performance of relative values of mean power and peak power was observed a significantly high in the Male athletes group than the Female athletes group. The Male athletes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relative left:extension and left:flexion, relative right:extension and right flexion than the Female athletes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a basic data for composing a training program for high school Judo athletes, especially female play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