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과학교과내용학과 과학교육학의 본질 탐구 -‘본질적-총체적’ 관점과 실천전통을 중심으로-
Exploring the Essence of ‘Science Content’ and ‘Science Education’: Focus on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and Practices
이경호 ( Gyoungho Lee )
UCI I410-ECN-0102-2023-300-000949638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양성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핵심 학문 중에서 특히, 과학교과내용학과 과학교육학을 ‘본질적-총체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본질적-총체적’ 관점의 정의, 철학적 배경, 그리고 실천전통과의 관계 등에 관하여 심층적으로 탐구하였다, 그리고 ‘본질적-총체적’ 관점에서 과학교과 내용학과 과학교육학의 본질에 관하여 탐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질적-총체적’ 관점에 따른 과학교과내용학은 과학의 실천전통을 탐구하고 그 탐구의 결과를 체계화하는 학문이다. 과학교과내용학의 주요 활동에는 ‘교사를 위한 과학’의 정립과 실행, 과학교육과정(교과서) 개발에의 참여 등이 있다. 둘째, ‘본질적-총체적’ 관점에 따른 과학교육학은 과학의 실천전통에 뿌리를 둔 과학교육 현상 속의 본질적인 문제를 심층적으로 탐구하고 올바른 가르침을 수행하는 것에 관한 학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과학교육학은 과학의 실천전통으로 학생들을 초대, 참여, 성장하도록 이끄는 것 (즉, 실천전통으로 입문시키는 것)과 관련된 일을 수행하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과학교육학의 주요 활동에는 ‘과학교육과정(교과서) 개발부터 수업, 평가(기록)’에 이르는 활동이 포함된다. 논문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진행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examine science content and science education from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in particular, among the core disciplines constituting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this study, we first, analyzed the definition of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practices in-depth, and then, from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conducted an inquiry into the essence of science content and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science content is a study that explores the science practices and systematizes the results of that inquiry. Major activities of science cont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for teachers’ and participation in the development of science curriculum (textbook). Second,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is a study about in-depth exploration of essential problems in science education phenomena rooted in the science practices and the practice of good teaching. More specifically, science education is a field that carries out work related to inviting, participating, and guiding students to grow into science practices (i.e. initiating into practices). The main activities of science education related to this include activities ranging from the development of the science curriculum (textbook) to teaching and evaluation (recording). In this study, we discussed important task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Ⅰ. 서론
Ⅱ. ‘분리적’ 관점 vs. ‘본질적-총체적’ 관점: 과학교과내용학과 과학교육학을 바라보는 두 가지 관점
Ⅲ. ‘본질적-총체적’ 관점에 따른 과학교과내용학의 본질과 주요 활동내용
Ⅳ. ‘본질적-총체적’ 관점에 따른 과학교육학의 본질과 주요 활동내용
Ⅴ. 요약 및 논의
국문요약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