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한국산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 Scartelaos gigas의 섭이기관 구조
The structure of the feeding organ in Korean two mudskippers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gigas (Pisces: Gobiidae)
이용주 ( Lee Yong-joo )
초등교육연구 28권 2호 123-133(11pages)
UCI I410-ECN-0102-2023-300-00094809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구매가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2017년 8월부터 10월까지 남해와 서해의 조간대 갯벌에서 채집된 한국산 망둑어과 어류 짱뚱어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와 남방짱뚱어 Scartelaos gigas의 섭이기관에 관한 연구가 디지털 카메라와 실체현미경을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2종 모두 섭이기관인 턱은 상악골과 하악골의 좌우 1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둥이 바깥쪽으로 굽어져 위치하였다. 이빨의 배열과 형태를 조사한 결과, 짱뚱어는 1열의 원뿔 모양을 나타내는 큰 이빨(상악골 5~6개, 하악골 6)과 1열의 끝이 뭉툭한 칼 모양의 작은 이빨(상악골 47~48, 하악골 46~48)들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남방짱뚱어는 상악골과 하악골에서 각각 1열의 원뿔 모양의 큰 이빨(상악골 6개, 하악골 2개)과 1열의 끝이 뭉툭한 칼 모양의 작은 이빨(상악골 52~54개, 하악골 54~55개)로 구성되었다. 특히 남방짱뚱어에서 하악골의 큰 이빨은 작은 이빨과 다르게 입 안쪽으로 1열, 2개로 배열되어 차이를 보였다. 한편 인두골의 형태는 두 종 모두 혀 모양의 좌우 한 쌍으로 구성된 상인두골과 나뭇잎 형태의 좌우 한 쌍인 하인두골을 나타냈다. 인두골의 이빨 형태는 두 종 모두 큰 이빨, 작은 이빨, 미세 이빨 구조를 보였지만 특히 하인두골 안쪽 가장자리에서 짱뚱어는 작은 이빨, 남방짱뚱어는 큰 이빨이 발달하여 두 종간 차이를 보였다. 결과적으로 두 종의 악골, 이빨, 인두골, 인두치 등의 섭이기관 특징은 조간대 갯벌에서 먹이를 긁어먹는 습성을 보이는 짱뚱어와 잡식성으로 추정되는 남방짱뚱어에 적합한 구조로 생각되며, 분류학적 형질로도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ructure of the feeding organ in the Korean two mudskippers,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and Scartelaos gigas, were investigated using a stereo microscopy and digital camera in the intertidal zone along the coast of the eastern and the southern sea, August - October 2017. The upper and lower jaws of the two species are at each side of the snout in pairs, being bent outward. In the arrangement and the morphology of the teeth, B. pectinirostris has a large conical (5~6 in upper jaw, 6 in lower jaw in number) and a small conical tooth (47~48 in upper jaw, 46~48 in lower jaw in number) lined up in a row. S. gigas has a large conical teeth (6 in upper jaw, 2 in lower jaw in number) in a row and a small teeth (52~54 in upper jaw, 54~55 in lower jaw in number) like a top-blunt knife in a row. In the lower jaw of S. gigas, 2 large tooth are arranged on a different position from a small teeth, being more proximally. In the two species, the pharyngeal bone consists of a linguiform upper bone and a leaf-like lower bone. The pharyngeal teeth is composed of three types of teeth (a large, a small, and a micro teeth). From the inner edge of the lower pharyngeal bone, a difference shows that B. pectinirostris has a small teeth, but S. gigas has a large one. These results might be considered that such structure of their feeding organ is suitable to B. pectinirostris to scratch and eat a prey and S. gigas to be probably omnivore in the intertidal mudflat, and especially it can be used as a taxonomical trait.

Ⅰ. 서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