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의 목적은 먼저 영상제작워크숍 수업에서 스토리텔링을 개발할 때 단계별로 창작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그 방법에 대해서도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면서 연구하는 것에 있다. 우선 2장에서는 단계별 창작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단계별로 창작의 요소와 검토 방법에 관해서도 서술한다. 아울러 3장에서는 구체적인 스토리텔링 단계별 피드백 사례의 제시를 통해 영상제작워크숍 수업에서 창작물의 완성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했다. 단계별 창작 과정은 로그 라인, 시놉시스, 트리트먼트, 시나리오의 순서로 검토 가능하다. 로그 라인은 소재의 3요소가 갖추어져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고, 시놉시스는 이야기의 결말에 대한 작가의 구상이 존재하는지와 이를 통해 이야기의 주제가 드러나는지를 검토해 볼 수 있다. 트리트먼트는 실질적인 이야기의 완성단계로 이야기 전체를 검토할 수 있고, 소설 형식으로 작성된 트리트먼트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스텝 아웃라인 형식으로 변환해 검토함으로써 장면 전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시나리오 단계에서는 아직 훈련이 부족한 창작자가 이야기에 포함되어야 하지만 간과했거나 잘못 기술한 부분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집중해야 한다. 단계별 창작 과정을 피드백 사례를 통해 살펴보면, 개선의 방법은 대체로 이야기 설정의 구체성과 관련이 있었다. 먼저 로그 라인에서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이나 사건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 많은 문제가 해결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시놉시스에서는 결말을 모호하게 하는 이야기 부분을 삭제하거나 기술되지 않은 이야기를 추가하면 창작자의 의도에 맞는 결말을 작성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트리트먼트에서의 피드백은 작성된 트리트먼트를 스텝 아웃라인 방식으로 변형해 이야기에 아직 구성되지 않은 부분들을 살펴보고, 이를 구체적으로 설정하면서 시나리오 단계로 나아가는 것으로 피드백을 마쳤다. 시나리오 단계에서 살펴본 사례들은 상황이 불분명한, 행동이 중복된, 행동 묘사가 제대로 안 된, 불필요한 화면 처리에 대한, 인물과 시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지문 등이었는데, 창작자는 피드백을 통해 이를 인지하고 수정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first explain why creation is needed at each stage of storytelling development in a video production workshop class and to investigate the method, proceeding with the actual class. First, Chapter 2 examines the necessity of creation by stage and discusses the elements of creativity and the method of examination by stage. In addition, Chapter 3 presents cases of feedback for each stage of concrete storytelling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creation in the video production workshop class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The creative process by stage can be examined in the following order: logline, synopsis, treatment, and screenplay. The logline is to check if the three elements of the subject matter are prepared. The synopsis is to examine if there is the author’s design of the ending of the story and if the theme of the story is revealed. The treatment is the stage of completion of a substantial story in which the entire story can be examined,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scen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treatment drawn up in the novel format, converting them in the step outline format. In the screenplay stage, the creator still lacking in training should concentrate on modifying the parts that should be included in the story but were overlooked or miswritten. To examine the creative process by stage through the case of feedback, the method of improvement was usually related to the specificity of the story setting. First, in the logline, it was found that many problems would be solved if the characters or events in the story were concretely presented. In the synopsis, it was not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reate an ending that matches the creator’s intentions by removing the part of the story that obscures the ending or adding a story that is not described. Regarding the feedback in the treatment, this study examined parts that were not yet formed by transforming the treatment drawn up with the step outline method and completed the feedback by proceeding to the screenplay stage, setting them concretely. The cases examined in the screenplay stage included unclear situations, duplicated actions, poor action descriptions, unnecessary screen processing, and directions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character and time, and the creator was able to recognize and modify them through feed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