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9
216.73.216.169
close menu
KCI 등재
쇼셜미디어 공간에서의 춤 모빌리티 - 이동하는 신체권력 -
Dance Mobility’ in Social Media Space : Moving Body Power
김정은 ( Kim Jeong-eun ) , 유지영 ( Yoo Ji-young )
한국무용연구 40권 3호 161-183(23pages)
UCI I410-ECN-0102-2023-600-000958830

연구목적; 이 연구는 쇼셜미디어에서의 ‘춤 모빌리티’에 대한 특성을 사회학 관점에서 접근, 디지털 공간에서의 신체 이동과 자본의 생산, 디지털 매체와의 상호관계를 모빌리티 권력이라는 문화적 실천 속에서 탐색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Sheller와 Urry 모빌리티 이론이 차용된 해석적 문헌연구이다. 결과: 첫째, 이동이라는 모빌리티 정의와 함께 인간, 기계간의 매체적 혼종성을 생태적 측면에서 서술해보았다. 둘째, 쇼셜 미디어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인플루언서, 틱톡커들의 춤 콘텐츠가 어떻게 디지털 모빌리티에 맞게 이상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쇼셜 네트워크에서 춤에 관한 미디어 정보가 어떻게 자본으로서 이동 권력을 가지는가에 대한 구성적 메커니즘을 신체 이동 속도와 권력 투쟁의 문제로 귀결해 논의해보았다. 결론: 이동의 시대 ‘춤 모빌리티’에 대한 연구는 네트워크 자본에 있어 물질과 비물질간의 생산 관계는 물론 디지털 문화에서 춤이 어떻게 모빌리티 자본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신체 이동 권력’에 관한 연구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춤과 모빌리티의 관계는 문화 자본과 소비예술, 현전의 미학이라는 문제와 맞닿아있으며 이는 앞으로도 충분히 논의되어야 할 시대적 질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함의 역시 충분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tri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dance mobility’ in social media, from the sociological perspective, body movement and capital production and digital media in the cultural practice of mobility power. Methods: It is an interpretative literature study that borrows the Sheller’s and Urry’s mobility theory. Result: First, it ecologically described the definition of mobility, movement, as well as the media hybridity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s. Second, it examined how the dance contents of influencers and ticktokers, who may be the symbols of social media, have been idealized as those suitable for the digital mobility. Third, it discussed the constitutive mechanism in which the media information about dance acquires the moving power as capital in social networks, by considering it the issues of body’s moving speed and struggles for power. Conclusion: In the age of movement, research on the ‘dance mobility’ is als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 and immaterial things in the network capital, as well as on the ‘body’s moving power’, in other words, how the dance can be mobility capital in the digital cul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dance and mobility is tied with the issues of cultural capital, consumption art, aesthetics of presence, which are the historical questions that should be fully discussed in the future. This study thus has an adequate academic implication.

Ⅰ. 서 론
Ⅱ. 모빌리티 정의와 이동의 정치(권력): 신체, 알고리즘, 소셜 미디어
Ⅲ. 모빌리티 혼종성
Ⅳ. 춤 모빌리티의 확장: 이동하는 신체 권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