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스피노자의 인과론과 개체화 문제
Spinoza's Causality and the Problem of Individuation
이혁주 ( Lee Hyouk-ju )
동서철학연구 105권 263-296(34pages)
UCI I410-ECN-0102-2023-100-000977450

스피노자의 개체론에서 모든 개체는 상이한 본성을 지닌 개체들 사이의 운동과 정지의 관계, 곧 그것들 간 연합이다. 이 연합에 의해 개체들은 그것들이 합성하는 개체의 부분들로 간주되며, 개체들은 이 연합의 차이에 의해 개별화된다. 따라서 개체의 개체성은 부분들 사이의 연합이다. 하지만 상이한 본성을 지닌 개체들의 연합이 어떻게 안정적일 수 있는지는 근본적으로 문제적이다. 우리는 이 문제가 그의 인과론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고 본다. 먼저 개체의 실존과 작업은 상호 함축적이므로 개체성은 개체들 간 힘의 차이에서 비롯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개체성은 내부 원인과 외부 원인 둘 다를 통해 이해되어야 한다. 그런데 개체는 항상 이미 같은 수준의 개체들은 물론 다른 수준의 개체들과의 상호 운동 관계 속에 있다. 따라서 개체성은 이러한 관계의 안정성에 의해 파악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스피노자 철학에서 개체의 개체성, 곧 부분들이 연합의 안정성은 다른 원인들과의 상호 운동 관계에 의해 해명된다.

In the theory of individuation in Spinoza's philosophy, every individual is a ratio of motion and rest between individuals with different natures, that is, a union of them. By this union, individuals are regarded as parts of the individual they compose. And every individual is individualized by the differences of the way of this union. Hence the individuality of each individual is the union of its parts. However, how the union of individuals with different natures can be stable connotes a fundamental issue. I suggest this problem can be elucidated through Spinoza’s causal theory. First, since the existence and work of every individual imply the existence each other, the individuality can be understood as the result from the differences between an individual’s powers. Therefore, the individual's individuality must be understood by both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However, every individual is always already in a mutually kinetic relationship with individuals at the same level, as well as individuals at a different level. Accordingly, individuality must be grasped by the stability of this relationship. In conclusion, in Spinoza's philosophy, the individuality of the individual is elucidated by a reciprocal kinetic relationship with other causes.

1. 서론
2. 개체의 본성과 개체성
3. 개체의 관계와 개체성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