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KCI 등재
최경미의 피아노 듀오곡 <공(空)> 연구
A Study on Piano Duo < In Void > by Kyong Mee Choi
유순영 ( Yu Sun Young )
UCI I410-ECN-0102-2023-600-000973624

본 연구는 피아노 듀오 레퍼토리 확장의 일환으로 최경미의 피아노 듀오곡 <공(空)>을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작곡가와 이메일 교신, 피아노 듀오곡에 대한 관련 문헌을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곡가는 손가락으로 현을 누르며 음 약화하기, 두 개의 팀파니 채로 가장 낮은 음역을 두드리기, 특정 부분의 피아노 현을 뜯기 등의 내부 현 연주기법을 사용하여 음색의 변화를 시도했다. 둘째, 곡을 구성하는 주요 음형들과 단 2도의 음정이 곡 전반에 나타나고 변형되어 통일감을 준다. 셋째, 피아노의 극단적인 음역대 사용과 다이나믹의 잦은 변화가 나타난다. 넷째, 양 주자는 빈번히 변화되는 악상 표현을 숙지하고 서로의 소리의 균형을 맞추도록 노력하며, 리듬, 템포, 호흡, 페이싱(pacing)에 대한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내부 현 연주기법에서 도출되는 효과와 음색을 명확히 이해하여 이 주법이 체득될 수 있도록 한다. 이 연구를 계기로 피아노 듀오곡에 관한 지속적인 관심이 이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Kyong Mee Choi’s piano duo < In Void > as part of the expansion of the piano duo repertoire. The research method were based on the piano duo literature and composer’s email correspondenc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oser tried to change the tone by using inside the piano techniques such as weakening the notes by pressing the strings with their fingers, striking the lowest range with two timpanis, and plucking the piano strings in a specific part. Second, the major motives and minor 2nd appear throughout the piece to give a sense of unity. Third, the use of the extreme range of the piano and frequent changes in dynamics appear. Fourth, both players are familiar with the frequently changed musical expression and strive to balance each other’s sounds. Also, they requires close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on rhythm, tempo, breathing, and pacing. In addition, the effect and tone derived from the inside the piano technique can be clearly understood so that this technique can be acquire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active research on piano duo.

Ⅰ. 서론
Ⅱ. 작곡가 최경미
Ⅲ. <공(空)>
Ⅳ.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