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88.218.140
18.188.218.140
close menu
KCI 등재
교육과정 내용분석을 통한 생태전환교육 방향 탐색
A Curriculum Content Analysis Study on the Dire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박수련 ( Sooryun Park )
DOI 10.15708/KSCS.40.3.1
UCI I410-ECN-0102-2023-300-000980768

최근 발표된 2022 개정 총론 주요사항에서는 지속가능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한 핵심 소양으로 ‘생태전환교육’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정의하고 생태적 전환을 위한 교육을 강화할 것을 명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환경 및 생태교육 관련 내용의 성격과 특징을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 생태전환교육이 구현될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공통 교육과정 중 사회과, 과학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내용분석(content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태전환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사회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환경과 삶의 관계 파악,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개인적·사회적 실천을 강조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현행 사회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내용과 창의적 체험활동은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을 이해하고, 환경문제 및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며, 현대사회 다양한 환경문제 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내용과 활동을 중점적으로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우리나라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설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s one of the major revisions of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The main points of the general guidelin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uggested that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be strengthened in all subject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education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 a direction for developing a curriculum for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in the new national curriculum.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science, and creative activity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ives of the 2015 revised subject curriculum were considered to understand society as a whole,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and life, and emphasize individual and social practices for a sustainable society.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social studies, scienc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creative activities focused on understanding sustainable development, recognizing environmental issues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nd responding to various problems in environmental cris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