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3.147.57.239
3.147.57.239
close menu
KCI 등재
박물관의 디지털 체험에서의 유희적 탐색 - 경험적 디자인 요소와 전통문화 단청을 기반으로 한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Playful Exploration of Digital Experience in Museums - Focused on User Experience Design Elements and Application Case Study on Cultural Heritage Dancheong -
이혜연 ( Lee Hyeyeon ) , 주진호 ( Chu Jean Ho )
DOI 10.47294/KSBDA.23.4.23
UCI I410-ECN-0102-2023-600-00099753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 전달 위주로 박물관 디지털 체험 디자인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관객 참여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험 디자인의 요소로써 유희적 탐색을 제안하고 그 개념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사례 조사, 그리고 이를 적용한 디자인 실험을 포함한다. 연구대상은 전통문화를 중심으로 한 박물관에서 참여와 체험을 위해 제공하는 몰입적이고 상호작용적인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하였다. 유희적 탐색의 개념 제시를 위해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서 설명하는 지식 형성 과정에서의 탐색적 활동과 유희성과의 연관성을 찾았다. 이를 바탕으로 유희적 탐색에 대한 개념 정의를 지식을 형성하기 위하여 참여자가 주체적으로 행위 하는 참여적 경험이라고 정리하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유희적 탐색의 요소를 감각 경험, 신체 참여, 규칙과 즉흥성으로 도출하였고 실제 박물관에서의 디지털 체험 시스템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유형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유희적 탐색의 요소와 기술에 대한 분석은 디지털 체험을 기획하는 과정에서 아이디어 개발이나 평가 및 분석에 있어서의 도구이자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유희적 탐색의 개념과 요소를 적용하여 전통문화 유산인 단청의 조색 원리를 땅따먹기와 유사한 신체적 활동을 바탕으로 친숙하게 체험하고 자신만의 개인화된 단청을 만들 수 있는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 영상 프로젝션, 3D 카메라를 통한 위치추적, 그리고 이를 종합하여 창작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활용되었다. 전통 문화를 재해석하여 이에 기반한 디지털 체험 시스템을 만듦으로써 관객이 단청의 채색 원리를 친숙하게 경험하고 주체적이고 개별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cept of playful exploration as an element for user experience design of digital experience systems in museums to enhance the participatory experience of audience as an alternative to the information-centric approach. Research method includes literature review, case research, and design experiments. Research subject is immersive and interactive digital technology that provide participatory experience in cultural heritage museums. The concept of playful exploration was studied by examining constructive learning theory and finding the relevance of exploratory activities and play in knowledge formation. The concept of playful exploration is proposed as participatory experience that are performed individualistic to expand one’s knowledge. The elements for playful exploration that can be provided through digital technology have been derived as sensory experience, physical participation, rules and improvisation and examined through existing museum experience systems. The elements and technological analysis on playful exploration can be utilized to provide guidelines or tools for idea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ojects. The proposed concept of playful exploration and its elements have been applied in interactive system for the audience to learn the coloring principles of cultural heritage dancheong by creating personalized dancheong patterns through a familiar play similar to hopscotch. Digital technology for screen projection, position tracking through 3D camera, and computer program were utiliz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allows the audience to familiarly experience the coloring principle of dancheong and find its subjective and individual meaning by applying the element of playful exploration, reinterpreting traditional culture, and creating a digital experience system based on it.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be revised to reflect the results of design application and evaluation through user questionnaires. Based on this result, we will be able to provide more specific design guidelines.

1. 서론
2. 관련 연구
3. 관객 참여 시스템에서의 유희적 탐색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