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3월 26일 일본 효고현 다카라즈카에 조선인 추도비가 건립되었다. 이 추도비에는 1914년 3월 고베수도공사 중에 사고로 사망한 김병순(金炳順)씨를 포함한 다섯 명의 조선인 노동자들의 이름이 새겨졌다. 다카라즈카의 일본인과 재일동포들은 지난 1백 년 동안 이 조선인 순난자들을 제사지내 왔다. 그들의 희생을 발굴하고, 기록하고, 마침내 다카라즈카 시정부의 협력 아래 추도비를 세우기에 이르렀다. 이 글은 <다카라즈카 조선인 추도비> 건립이 <강릉시의 감사패> 증정으로 이어졌던 일련의 과정을 2000년대 들어 활발해진 한국식 공공외교의 전형적인 사례로 파악하면서, 이와 유사한 공공외교 활동에서 인류애와 인권에 바탕을 둔 보편적 가치 추구와 공공외교의 세 행위자(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그리고 민간부문) 사이의 협력이 매우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On March 26, 2020, a memorial monument for Koreans was built in Takarazuka, Hyogo Prefecture, Japan. The memorial stone engraved the names of five Korean workers, including Kim Byung-soon, who died in an accident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Kobe water supply in March 1914. The Japanese and Korean residents of Takarazuka have been holding annual memorial services for the Korean victims for the past 100 years, discovering and recording their sacrifices, and eventually established a memorial stone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Takarazuka municipal government. This article identified a series of processes where the construction of < Takarazuka Memorial Monument for Koreans > has been led to the presentation of < Plaque of Appreciation of Gangneung City >. Considering these activities as a typical example of Korean-style public diplomacy, it is pointed out that it is important to pursue universal values based on humanity and human rights in public diplomacy and the cooperation among the three actors of public diplom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