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 대응 디지털 신기술 직업훈련의 대표적인 정부사업인 K-디지털 트레이닝 사업을 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K-디지털 트레이닝 사업은 시행 후 3년만에 훈련 운영기관은 7.1배, 훈련과정 프로그램은 8.5배 증가하는 등 급격히 확대되고 있으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유훈련모델을 제시한다. 이 모델은 지역의 열악한 인적 물적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체계적 구성과 운영으로 디지털 신기술에 대응하고 교육훈련의 내실화와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이다. 지역별로 디지털 신기술 관련 강사, 교육훈련 콘텐츠, 교육훈련 인프라 등 여러 훈련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자원을 공동 활용하는 컨소시엄 형태의 공유 협력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급격히 발전하는 디지털 신기술 교육훈련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교육훈련 인증평가 제도를 도입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
In this study, K-Digital Training program, which is a representative government project of vocational training for new digital technologies in respons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s analyzed and an improvement model is suggested. The K-Digital training project is rapidly expanding, with the number of training operators increasing by 7.1 times and training course programs by 8.5 times within three years of implementation, but there is a severe problem in that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To solve this problem, a shared training model is proposed. This model is a plan to maximize the use of loca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to respond to new digital technologies through systematic composition and operation, and to enhance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each region, a sharing and cooperation model in the form of a consortium is established that jointly utilizes resources scattered by various training institutions such as instructors, training contents, and training infrastructure related to digital new technology. In addition, a training certification evaluation system is introduced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rapidly developing digital new technology trai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