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단어 ‘and’는 한국어로 ‘-하고’, ‘그리고’, ‘-와/과’, ‘-(이)랑’ 등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다. 특히 이 중에서도 ‘하고’와 ‘그리고’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초급 단계에서 배우는 가장 기초적인 단어들이다. 이 둘은 품사가 다르지만, 연결의 기능을 한다는 점과 의미상으로 ‘and’의 뜻을 가진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따라서 한국어 화자들, 특히 영어권 화자들에게 ‘and’로만 교육된다면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둘의 차이점과 함께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코퍼스 분석을 통해 ‘-하고’와 ‘그리고’의 차이점을 밝히고 이러한 차이점을 한국어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기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하고’와 ‘그리고’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차이점으로는 ‘-하고’는 단어, 구, 절과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범위를 연결하고, ‘그리고’는 문장까지 연결할 수 있으므로 넓은 범위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하고’와 ‘그리고’ 모두 두 번 이상 연달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세 번 이상 사용되는 경우 ‘그리고’는 그 자체로 연달아 사용되기보다, 주로 쉼표나 ‘와/과’ 혹은 ‘-고’와 같은 다른 접속 조사, 연결 어미와 함께 사용되었다. 이때, ‘그리고’는 나열되는 마지막 항목 앞에 등장하였다. ‘-하고’는 나열되는 항목의 마지막 뒤에 붙을 수도, 붙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하고’의 유무에 따라 나열되는 그룹의 경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하고’와 ‘그리고’ 바로 앞에 오는 즉, 선행하는 명사의 특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일반 명사와 쓰이는 경우, ‘-하고’는 주로 유정 명사, 그중에서도 사람 관련 명사가 사용되었고, ‘그리고’는 무정 명사와 주로 사용되었다. 고유 명사인 국가 이름과 사람 이름은 ‘-하고’와 ‘그리고’ 양쪽에서 나타났지만, 사람 이름은 ‘-하고’에서 더 빈번히 나타났다. 의존 명사의 경우, ‘거’는 ‘-하고’와 ‘것’은 ‘그리고’와 주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대명사의 경우 ‘그리고’보다는 ‘-하고’와 현저하게 사용됨을 확인했다. 이러한 차이점을 기반으로 ‘-하고’와 ‘그리고’의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어 학습자들은 언제 ‘-하고’를 쓰는 것이, 또 ‘그리고’를 쓰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지를 이해하고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English word ‘and’ can be translated into Korean in different ways such as ‘-hako’, ‘kuliko’, ‘-wa/kwa’, and ‘-(i)rang’. Among these, especially, ‘kuliko’, and ‘-hako’ are basic words that Korean learners encounter at the beginning level of learning. Both are different points of part of speech, but meaningfully, have the same function of connection as the word ‘and’. Therefore, since it can be confusing for Korean learners, especially for English native speakers,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differences between two. For this reason, this paper, through the corpus data analysis, defin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hako’ and ‘kuliko’ and act as a guide to apply the findings for Korean education. First, one of the general differences is, ‘-hako’, which can connect words, phrases, and clauses but not sentences (connects smaller scopes), while ‘kuliko’ is able to connect words, phrases, clauses, and sentences (connects broader scopes). Next, ‘-hako’ and ‘kuliko’ can be used twice in a sentence. In addition, ‘-hako’ can be used more than three times but ‘kuliko’ is used with commas or other connective particles such as ‘-wa/kwa’ or ‘-ko’ instead of using itself many times. When they are used together, ‘kuliko’ appears right before the last listed item. ‘-Hako’ is free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last listed item, but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hako’, the boundary of grouping can differ. In addition, there ar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nouns which come right before ‘-hako’ or ‘kuliko’. When it is used with ‘common nouns’, ‘-hako’ appears with animate nouns such as ‘people’ and people-related nouns. On the other hand, ‘kuliko’ is mostly used with inanimate nouns. In the case of ‘proper nouns’, both ‘-hako’ and ‘kuliko’ were used together with country and people’s name, but people’s names appeared more frequently with ‘-hako’. With dependent nouns, ‘ke’ is mostly used with ‘-hako’ and ‘kes’ is used most with ‘kuliko’. Lastly, pronouns are mainly used with ‘-hako’ rather than ‘kuliko’. Instead of only being taught one of the ‘and’ words, it should be taught based on these differences of ‘-hako’, and ‘kuliko’. Then, Korean learners will be able to understand when it is more natural to use ‘-hako’ or ‘kuliko’ and will be able to use them corr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