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12
216.73.216.112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고대 웅녀(熊女) 신앙의 전개와 국모신(國母神) 관념의 변화
The Development of Korean Ancient Bear girl(熊女) Faith and the Change of the National Mother God
이장웅 ( Lee Jang Woong )
선도문화 33권 229-273(45pages)
DOI 10.35573/JKSC.33.5
UCI I410-ECN-0102-2023-900-000998977

만주와 한반도에서 웅녀(熊女) 신앙과 국모신(國母神) 전통에 대하여 살피면서, 여산신(女山神)과 곰 신앙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고조선에서는 태백산(太伯山)과 백악산(白岳山)이라는 산이 신성시되었고, 단군(檀君)은 산신(山神)이 되었다. 단군 신화가 전해진 고구려에서는 국모 유화(柳花) 신앙과 함께 곰과 호랑이에 대한 신앙도 전해졌다. 물길(勿吉)과 말갈(靺鞨)에서도 태백산과 함께 곰과 호랑이 등을 신성하게 여긴 기록을 찾아볼 수 있었다. 만주 지역의 웅녀신앙과 관련하여 조양(朝陽) 원태자(袁台子) 벽화묘(壁畵墓)의 검은 곰 벽화를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발굴된 산서성(山西省) 흔주시(忻州市) 구원강(九原崗) 벽화묘에는 산악과 나무를 배경으로 곰, 호랑이가 신성하게 묘사되거나 사냥 대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에서 웅녀 신앙의 자취를 찾아보았다. 신라에서는 시조인 박혁거세가 등장하기 이전에 6촌장이 하늘에서 산으로 내려왔는데, 이들은 고조선의 유민으로 기록되었다. 따라서 고조선의 산신 신앙이 신라에 전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선도산(仙桃山) 성모(聖母)인 사소(娑蘇)는 시조 박혁거세와 알영의 어머니인 국모신(國母神)으로 전해지면서, 선도산의 여산신(女山神)으로 나타난다. 또한, 신라에서 기장산의 산신이 웅신(熊神)으로, 토함산의 산신이 웅귀(熊鬼)로 나타나고 있어, 곰 신앙과의 연관도 보이고 있다. 대가야의 정견모주(正見母主)는 시조 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을 낳은 국모(國母)인 여산신(女山神)으로, 남편인 천신(天神)보다 높은 대가야 왕실 계보의 정점에 위치하면서 깊이 신앙되었다. 신라 시대에도 해인사라는 사찰 안에 정견천왕(正見天王)의 사당을 모실 정도로 불교와 융화되면서도 그 위상을 유지하였다. 국호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고려 시대에는 국모 여산신 신앙이 이어지면서 변화되었다. 고구려의 국모 유화는 동국(東國)의 시조로 격상된 주몽(朱蒙)의 어머니인 동신(東神) 성모(聖母)의 지위로 제사되었다. 또한, 지리산의 여산신 신앙은 가야 때부터 백제와 신라, 고려와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전해지고 있는데, 신라의 선도산(仙桃山) 성모(聖母) 신앙이 유입되어 융화되면서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In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While examining the faith of the Bear girl(熊女) and the tradition of the Mother god, we focused on the faith of the female mountain god and the bear. In Gojoseon, mountains called Taebaeksan(太伯山) and baekaksan(白岳山) were considered sacred, and Dangun(檀君) became a mountain god. In Goguryeo, where the myth of Dangun was handed down, the belief in the national mother Yuhwa(柳花) and the belief in bears and tigers were also handed down. In Mulgil(勿吉) and Malgal(靺鞨), records of Taebaeksan Mountain, bears, and tigers were found sacred. Regarding the faith of the bear girl in the Manchuria area, you can refer to the black bear mural of the “Joyang(朝陽) Wontaeja(袁台子) mural tomb”. In addition, in the recently excavated “Kuwongang(九原崗) mural tomb”, bears and tigers are depicted sacred against the backdrop of mountains and trees, and they appear as hunting targets, so we looked for traces of the faith of the bear girl. In Silla, before the emergence of Park-Hyukgeose(朴赫居世), the founder of the Silla kingdom, the sixth chief descended from heaven to the mountain, and they were recorded as refugees of Gojose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Gojoseon’s faith in the mountain god was passed down to Silla. In particular, Saso(娑蘇), the Virgin of Seondosan(仙桃山) Mountain, is said to be the mother of the founder Park-Hyukgeose and Alyeong(閼英), and appears as the female mountain god of Seondosan Mountain. In addition, in Silla, the mountain god of Gijangsan(機張山) Mountain appears as a “Bear god(熊神)”, and the mountain god of Tohamsan(吐含山) Mountain appears as a “Bear ghost(熊鬼)”, showing a connection with the bear faith. Daegaya’s Jeonggyeonmoju(正見母主) was a female mountain god who was the mother of the founder of King Ijinasi(伊珍阿豉王), and was deeply believed as it was located at the peak of the royal genealogy of Daegaya, which is higher than his husband, God of Heaven. Even in the Silla period, it maintained its status as it merged with Buddhism to the extent that the shrine of Heaven King Jeonggyeon(正見天王) was enshrined in a temple called Haeinsa. In the Goryeo Dynasty, when Goguryeo was succeeded by the national title, it changed as the faith of the national mother, a female mountain god, was continued. The Yuhwa(柳花) of Goguryeo’s national mother was the mother of Jumong(朱蒙), who was elevated to the founder of the Eastern Kingdom, and was enshrined as the Virgin of Eastern god(東神 聖母). In addition, the faith of the female mountain god in Jirisan Mountain has been passed down from Gaya through Baekje, Silla, Goryeo, and Joseon to the present day, and it shows that the faith of the Virgin of Seondosan Mountain of Silla was fused and transformed.

Ⅰ. 머리말
Ⅱ. 고조선의 웅녀 신앙과 고구려의 부여신 유화
Ⅲ. 신라의 선도산 신모(성모) 사소와 곰 신앙
Ⅳ. 대가야의 국모신 정견모주
Ⅴ. 동신 성모, 지리산 성모와 국모신 관념의 변화
Ⅵ.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