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목적: 이 연구는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조절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경기도 소재 중ㆍ고등학교 학생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 25.0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연구결과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41.871, P<.001),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도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있으며(F=111.594, P<.001), 부(-)적인 매개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의 결과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행동은 상관관계가 높으며 인지적 정서조절도 매개적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 예방 및 감소,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의 완화를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clarify how early maladaptive schema in adolescents affect thei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a total of 953 participants, inclu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e used SPSS (version 25.0) and the Process Macro method, which was first proposed by Hayes (2013), to analyze the data. Increased early maladaptive schema consequently induced increase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F=41.871, p<.0.001).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mediated by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F=111.594, p<.0.001). The present study provides preliminary data for educational and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prevent or reduce the development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s well as enhance the impa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to treat early maladaptive schem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