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4
216.73.216.214
close menu
KCI 등재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연계성 모색
Seeking for a Desirable Connec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Music Curriculum
승윤희 ( Seung Yunhee ) , 권덕원 ( Kwon Doug-won ) , 최은식 ( Choi Eunshik )
UCI I410-ECN-0102-2023-600-001026788

본 연구는 1954년에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최초로 제정, 공포된 이후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국가 교육과정 총론이 각론인 음악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관계를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하여 첫째,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총론과 각론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고찰하였으며, 둘째,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총론의 역량을 공통교육과정의 10개 교과 각론의 성격에서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여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셋째, 지난 시기의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연계성과, 현행 교육과정 총론의 성격 반영 유형에 근거하여 앞으로 개정 공포될 2022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관계 정립을 위한 제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은 형식적인 연계성과 내용적인 연계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형식적인 연계성은 제6차~2007 개정 교육과정 시기에, 내용적인 연계성은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역량에 대한 공통교육과정 10개 교과의 각론 적용 유형은 각각 총론 구조 수용형, 총론 중 선택형, 교과 역량 혼합형, 및 독립 교과 역량형으로 나타났는데, 이 가운데 총론 역량과 교과 역량을 혼합한 유형인 ‘교과 역량 혼합’ 유형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지난 시기와 현행 교육과정의 총론과 음악과 각론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의 설정은 첫째, 총론에 예술교육의 중요성 포함, 둘째, 총론의 시간 배당 기준에 음악 교과 시간의 독립적 제시, 셋째, 총론 역량의 교과 중심 재해석, 넷째, 학교 교육과정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포괄적 내용 체계와 범주의 제시, 다섯째,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전면적 재검토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how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music curriculums, and to suggest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music curriculum.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relation of the national general guidelines to the music curriculum are the formal connection and the content connection. The formal connection was found in the 6th~2007 revised music curriculums. Second, the application types of each of the 10 core subjects of the common curriculum for th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ere (1) embraci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with little adjustments, (2) selecting the subject-related among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3) blending the genuine subject related competencies with the competencies of the guidelines, and (4) presenting the genuine subject competencies. Third,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a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2022 national curriculum guidelines and the music curriculum were presented as follows: (1)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he general guidelines. (2) Independent representation of music subject should be included in the time allocation criteria of the general guidelines. (3) Authentic subject related interpretation and adaptation of the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s should be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4) Presentation of comprehensive contents and categories for efficient operation of local curriculum is necessary. (5) Comprehensive reconsid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hould be done.

Ⅰ. 서론
Ⅱ. 교육과정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고찰
Ⅲ. 2015 교육과정 핵심 역량의 공통교육과정 교과별 적용 유형
Ⅳ. 2022 총론과 음악과 교육과정 사이의 관계 정립을 위한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