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뇌물이 매개하는 후견 관계가 중국과 북한의 포스트사회주의 이행 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분석한다. 개혁개방 초기,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제도적 회색 지대와 황금주의 가치관이 확대되면서 ‘권력과 금전의 교환 (权钱交易)’ 현상이 나타났다. 중국의 부패는 ‘독창적 형태’, ‘약탈적 형태’, ‘제도화된 형태’로 전개되면서 개혁개방 이전 구축된 연결망을 바탕으로 지대추구로 이어졌다. 북한은 경제난 이후 시장화 과정에서 장사, 이동, 단속 모면을 위한 생계형 사적 연결망이 확산되었다. 북한의 부패는 귀속적 신분을 바탕으로 하는 최고 지도층과 결탁하는 정경유착 형태로 구조화되었다. 포스트사회주의 이행 과정에서 중국과 북한의 부패는 제도적 모호성과 불확실성 하에 사업 권한과 보호를 보장하기 위해 후견적 관계망을 공고화하는 과정에서 심화되었다. 부패의 경로는 ‘꽌시’, ‘연줄’과 같은 사적 연결망과 사회주의 시기로부터 전이된 관료주의와 결합하는 경로의존성을 보여준다
This study explores how patron-client relationship that bribery mediates in post-socialist transformations of China and North Korea. In the early reform period, legal gray zone and materialistic value emerged, but also the “power-wealth symbiosis” was captured in post-reform China. The characteristics of corruption in China can be categorized into creative, predatory, and institutionalized forms, which created opportunities for bureaucratic rent-seeking based on networks constructed in the pre-reform era. Meanwhile,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private networks became predominant for market activity with the spread of market mechanism. These characteristics of corruption has transformed into clientelistic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leaders and capitalists based on political background and ascribed status. Corruption in both countries has been more systemized, thus, market participants relied on the political elite for access to political protection, so that reduced the uncertainty of the market institu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e path of corruption shows the clos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connections and state bureaucracy inherited from the pre-reform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