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118.149.14
18.118.149.14
close menu
}
동적가족화에 나타난 탈북배경청소년의 가족지각
Family Perception in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presented in Kinetic Family Drawing
류혜수 ( Rue Hye-soo ) , 박성혜 ( Park Sung-hae )
DOI 10.54071/APS.2.1.1
UCI I410-ECN-0102-2023-300-001024745

본 연구에서는 탈북배경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과 가족유형, 가족유대감 상·하 집단 간에 따른 동적가족화 가족지각 반응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탈북배경청소년의 가족유대감 측정 도구로써 동적가족화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의 대안학교에 다니는 탈북배경청소년 80명이었으며 측정도구는 동적가족화, 개인 속성 및 가족환경 질문지, 가족유대감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t-검증과 F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 어머니, 자기상의 양육성,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가족유형에 따른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 어머니, 자기상의 신체 완전함, 눈, 얼굴, 아버지, 어머니상의 얼굴표정, 어머니상 크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유대감 상·하 집단 간에 따른 동적가족화 가족지각을 살펴본 결과, 가족유대감이 높을수록 채점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며 긍정적인 가족지각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동적 가족화에 나타난 탈북청소년의 가족지각을 밝히고 이들에 대한 임상미술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한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response characteristics of Kinetic Family Drawing (KFD) according to gender, family type, and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family bonds and the possibility of KFD as a tool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family bonds in youths with a background of defection from North Korea (YBDNK). 80 YBDNK aged 14 to 24 attending alternative schools or facilities for NK defectors in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participated for this study. KFD, questionnaire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family environments and family bonds were collected. We conducted t-test and F-tes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between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perception of father, mother, self-nurturance, and interactions by gend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of family perception were found in the body perfection of father, mother, self-image, eyes, face, facial expression of father, mother image, and size of mother image by family types. Third, the stronger the sense of family bonds, the higher the score was found in the scoring category, indicating the positive family perception in the upper and lower groups of the sense of family bond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