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9
216.73.216.9
close menu
KCI 등재
건물의 외주길이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uilding Perimeter and Safety Management Cost
한범진 ( Han¸ Bum-jin )
UCI I410-ECN-0102-2023-500-001028390

현장의 안전사고율을 낮추려는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건설산업은 치명적인 사고율이 높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건설 안전사고율을 낮추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설계 단계에서 안전위해요소를 관리하는 DFS(Design for safety)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자의 제한된 지식 때문에 설계 결과가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와 같은 project lifecycle 동안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 설계자는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만일 설계자가 건물의 형상이 안전사고율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응하는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한다면, 효과적인 DFS를 진행할 수 있다. 안전관리비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낙하방지 그물망, 안전 펜스와 같은 안전시설비는 동일 건축면적이라 하더라도 건물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물의 외주길이가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아파트(apartment building)를 대상으로 건물의 외주길이가 안전관리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위해 21개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수집한 후 외주길이와 건물형상계수, 건축면적을 독립변수로 안전관리비를 종속변수로 분석한다. 그 결과 외주길이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876, 형상계수와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801, 건축면적과 안전관리비의 상관관계는 R2가 0.792로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espite continuous efforts to reduce on-site safety accidents, the construction industry remains a high-risk sector with a high rate of fatal accidents. Design for Safety(DFS), which manages safety risk factors at the design stage, is being used as a method to lower the construction safety accident rate. However, due to limited knowledge, designers are unaware of the design-results risks during the different of the project lifecycle, including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Effective DFS can be conducted if the designer understands the effect of the building shape on the safety accident rate and corresponding safety management cost(SMC). The cost of safety facilities such as fall prevention nets and safety fences will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uilding. This study analyzes the outer perimeter length’s impact on SMC. Following the data collection from 21 projects for this study,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building perimeter(BP), building shape factor(BSF), and building area(BA), the dependent variable of SMC. The correlation R2 was found to be 0.876, 0.801 and 0.792 between the BP and SMC, BSF and SMC, BA and SMC,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these factors were closely related.

1. 서 론
2. 예비적 고찰
3. 데이터 수집
4. 데이터 분석
5. 결 론
요 약
Funding
ORCID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