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9
216.73.216.29
close menu
KCI 등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고찰 - 『漢韓大辭典』, 『韓國漢字語辭典』,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in Chinese Dictionaries for a Development of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 Focused on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
손혜옥 ( Son Hyeok ) , 김다미 ( Kim Dami ) , 차명희 ( Cha Myunghee ) , 김우정 ( Kim Woojeong )
동양학 88권 37-56(20pages)
UCI I410-ECN-0102-2023-900-000662914

이 연구는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의 기본 자원이 되는 기구축된 디지털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고찰하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에 앞서 먼저 논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든 디지털 한자어 사전의 표제어들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가장 많은 표제어를 싣고 있는 『漢韓大辭典』, 한국 문헌에만 등장하는 어휘를 모아 놓은 『韓國漢字語辭典』, 특수 목적 사전이라 할 수 있는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표제어 범위 면에서 살펴본 결과, 『한한대사전』과 『한국한자어사전』은 한국 문헌에만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여 한·중·일 고전 한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자와 어휘를 포괄하고자 했고 표제어 규모도 커 한문어휘에 대한 포괄성은 가장 넓다. 한편 『한국고전용어사전』과 『옛편지낱말사전』도 고전 한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사전이나 전자는 주로 기관에서 발행한 공적 문서를 바탕으로 하였다면 후자는 사적 문서인 간찰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선정하였으므로 특정 장르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언어적 특성 면에서는, 네 사전 모두 표제어의 언어적 성격이 사전의 거시 구조 차원에서 구분되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단어로 볼 수 있는 『한한대사전』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한한대사전』과 『한국한자어사전』의 어휘 표제어와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의 표제어들은 모두 단어에서부터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관용구, 의미 합성성을 지키고 있는 통사적 구성에 이르기까지 꽤 다양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것들이 혼재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표제어 성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의미망 개발을 위한 다음의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개발하려는 어휘의 미망의 성격을 확정하고 그에 합당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골라내는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보통 어휘의미망 개발은 유사한 언어적 속성을 가진 것을 모아 개발되는 편이므로 『한한대사전』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다양한 언어적 속성이 혼재된 한자 어휘 데이터들에서 균질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어떻게 골라낼 수 있을지, 혹은 이러한 데이터의 성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어휘 의미망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논의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in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which are the basic resources for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discussed before developing i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xamine all of the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so we selec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with largest number of headwords, the special dictionaries, 『Dictionary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ctionary headwrods are as follows. Firs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have the greatest coverage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hile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contain vocabulary of specific genres. Second, in all four dictionari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headwords were not reflected in the macrostructure of them. Therefore, except for the head-characters of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which can be seen as a word, it seems that the four dictionaries contain headwords with quite a variet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such as a word, idioms that acquire new meanings, patterns, typical syntactic constru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we were able to find out several points to discuss before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Firs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ing lexical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iscus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select data with homogeneous linguistic characteristics from digital Chinese vocabulary data, and how to select it if possible.

Ⅰ. 서 론
Ⅱ. 국어 사전의 표제어 성격
Ⅲ.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Ⅳ.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전제적 논의점
Ⅴ. 결 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